Applied Mineralogy for the Conservation of Dinosaur Tracks in the Goseong Interchange Area

35번 고속도로 고성 교차로 지역 공룡발자국의 보존을 위한 응용광물학적 연구

  • 정기영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 김수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bearing dinosaur tracks in the Goseong interchange area were studied for their conservation and public display in the aspect of applied mineralogy. Black clay layers alternate with silt layers in the sedimentary rocks. The verical and horizontal fissures are commonly filled with calcite veinlets, supergenetic iron and manganese oxides. The rocks are composed of quartz, albite, K-feldspar, calcite, chlorite, illite, muscovite, and biotite, with minor apatite and rutile. Silt layers are relatively rich in calcite and albite, whereas clay layers are abundant in quartz, illite, and chlorite. Al, Fe, Mg, K, Ti, and P are enriched in the clay layers, while Ca, Na, and Mn in silt. Most of trace elements including V, Cr, Co, Ni, Cs, Zr, REE, Th, and U are enriched in clay layers. Inorganic carbon are present in silt layers as calcite, while organic carbon in black clay layers. The black clay layers were partly altered to yellow clay layers along the fissures, simultaneously with the decrease of organic carbon. Selective exfoliation of clay-rich black and yellow clay layers, calcite matrix of silt layers and calcite infillings of fissures are estimated as the major weakness potentially promoting chemical and physical degradation of the track-bearing rock specimens.

대전-통영간 35번 고속도로 고성교차로 건설공사현장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화석의 보존 및 전시를 위한 응용광물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백악기 공룡발자국 퇴적암은 흑색점토층과 암회색 실트층의 호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 또는 수직 열극에는 방해석맥이나 표성기원의 산화철 또는 산화망간 침전물이 충전되어 있다. 강물조성은 전반적으로 석영, 앨바이트, K장석, 방해석, 녹니석 일라이트 백운모, 흑운모와 미량의 인회석, 금홍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해석과 앨바이드는 실트층, 그리고 석영, 일라이트,녹니석은 점토층에 부화되어 있다. 주원소인 Al, Fe, Mg, K, Ti, P는 절토층, Ca Na Mn은 실트층, 그리고 미랑원소인 V, Cr, Co, Ni, Cs, Zr, REE, Th, U 등은 점토층에 부화되어 있다. 탄소의 경우, 무기탄소는 실트층에 방해석의 형태로 농집되어 있으며, 유기탄소는 흑색점토층에 부화되어 있다. 흑색점토층은 열극을 따라 부분적으로 유기탄소가 이차적으로 산화제거되어 연황색 점토층으로 변질되었다. 점토광물이 풍부한 흑색 및 연황색 점토의 층리를 따른 선택적 박리현상, 실트층의 기질 또는 수직절리의 주요 충전물인 방해석의 용해성과 낮은 강도는 발자국 화석 표본의 향후 물리적, 화학적 훼손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적 요소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 이정후, 노진환, 안중호, 최진범, 조현구, 최헌수, 유재영, 정기영, 김강주 (2000) 해남 공룡화석지 보존 방안 학술연구. 전라남도 해남군, p. 271.
  2. 김수진 (2001a)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국가적 과제: 보존과학적 접근. 제13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21.
  3. 김수진 (2001b) 한국의 석조문화재 보존. 대한지질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문화재보존에 있어서 지질학의 역할’, 16-26.
  4. 김수진, 양승영, 김항묵, 백인성, 엄수학, 도진영, 장세정 (2002)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고성 IC 공룡발자국 화석 발굴조사 용역보고서. 한국도로공사, p. 210.
  5. 김종환 (1989) 구룡산(옥천)함우라늄 흑색 점판암 지 화학 및 성인. 광산지질, 22, 35-63.
  6. 노진환, 박현수 (1990) 고령 지역 경상누층군 사암의 속성작용 및 속성광물. 지질학회지, 26, 371-392.
  7. 양승영 (1982) 상부 경상층군에서 발견된 공룡의 족흔에 관하여. 지질학회지, 18, 37-48.
  8. 이용일, 전홍조 (1995) 거제도에 분포하는 전기 백악기 장목리층 사암의 속성작용. 지질학회지, 31, 32-46.
  9. 정기영, 김강주, 김종용, 박재형, 이도영, 박순길 (2003) 포항-경주지역 양산단층대 주변의 고불소 지하수 산출 특성. 지질학회지, 39, 371-384.
  10. 허 민 (1997) 해남 우항리 공룡발자국 화석 학술연구보고서. 전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p. 117.
  11. 한국고생물학회 (2002) 고성군 지역 공룡 화석지 기초학술조사 보고서. 한국고생물학회, p.205.
  12. Agnew, N., Griffin, H., Wade, M., Tebble, T., and Oxnam, W. (1989)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the preservation of fossil tracksites: an Australian example. In: Gillette, G. and Lockley, M.G. (eds.), Dinosaur tracks and tra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7-407.
  13. Jeong, G.Y. and Kim, S.J. (1993) Boxwork fabric of halloysite-rich kaolin formed by weathering of anorthosite in the Sancheong area, Korea. Clays and Clay Minerals, 41, 56-65.
  14. Jeong, G.Y., Cheong, C.-S., Kim, H. (2004) Mineralogy, geochemistry, and paleogeography of metaliferous black slates in the Ogcheon Belt, Korea. Abstract 32nd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Session G14.01 'Mineral deposits associated with black shales'.
  15. Wignall, P.B. (1994) Black Shales. Clarendon Press, Oxford, p.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