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cess of Migration Among Ulleung Island Residents

울릉도민의 이주과정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고찰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paper examines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of the Ulleung Island residents. On the theoretical side, this paper analyzes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of the Ulleung Island residents in relation with a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phenomenon of that island. And on the methodological side analyzes this paper historical literatures and output materials of field work.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paper approaches the issue on three dimensions. First, this article pursues the movement course of the Ulleung Island residents in the early Gaecheokryoung era. Second, it follows up their settlement process. Third, it tries to find out the factors of the population increase and decrea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actors of migration of Ulleung Island residents are following three - first, social and political motive, second, economical motive, and third, criminal motive. The immigrants with these motives have constituted a unique society on the Ulreung Island.

이 연구는 울릉도 주민의 이주와 정착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인 문헌 자료와 현지조사 자료를 통해 오늘날 울릉도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울릉도의 사회ㆍ문화ㆍ정치적 현상들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울릉도 초기 개척령 당시의 주민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울릉도로 들어왔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정착하였는지, 인구의 증가와 감소 현상이 단순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당시 울릉도나 본토의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과 어떠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울릉도민의 이주동기는 혼란한 육지의 사회ㆍ정치적 상황을 피해 울릉도로 이주한 사회ㆍ정치적 동기와 경제적인 안정을 찾아 이주한 경제적 동기 그리고 범죄 행위에 대한 도피처로 울릉도를 선택한 범죄적 동기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정착과정을 거치면서 울릉도는 하나의 독특한 사회로 발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숙 (1999), '울릉도, 독도의 역사지리적 인식,' <울릉도, 독도의 종합적연구>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87-122
  2. 김택규 (2000), <동해안 어촌 민속지> , 영남대출판부
  3. 문보근 (1961), <동해의 수련화 - 우산국 울릉도> (필사본)
  4. 박기성 (1999), <울릉도> , 대원사
  5. 박성용 . 이기태 (1999), '독도 울릉도의 자연환경과 도민의 문화,' <울릉도, 독도의 종합적 연구>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41-284
  6. 박영준 (1999), <섬의 세계사> , 가람기획
  7. 배우성 (1996), '고지도에 나타난 영토여해의식,' <역사비평> 35: 349-365
  8. 원 섭 (1979), <울릉도의 민요와 가사> , 형설출판사
  9. 송병기 (1987), '조선후기 . 고종조의 울릉도 수토와 개척,' <최영희선생회갑기념 한국사학논총> , 탐구당, 399-430
  10. 송병기 (1990), '일본의 량고도(독도) 영토편입과 울릉군수 심흥택 보고서,' <한국근대사 노총> , 윤병교수 회갑기념논총, 47-70
  11. 송병기 (1999), <울릉도와 독도> , 단국대출판부
  12. 양태진 (1996), '문헌적 측면에서 본 독도관계 자료분석,' <독도연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5-81
  13. 양태진 (1996), '한 . 일 독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 <역사비평> 33: 134-156
  14. 울릉군 (1983), <개척백년> , 울릉도
  15. 울릉군 (1963), <울릉군 향토지> , 울릉군.
  16. 울릉군 (1989), <울릉군지> , 학원인쇄사
  17. 울릉군 (1988), <울릉통계연보 (28)> , 경북도청구내출판실
  18. 울릉군 (1989), <울릉통계연보 (29)> , 경북도청구내출판실
  19. 울릉군 (1996), <울릉통계연보 (36)> , 경북도청구내출판실
  20. 울릉군 (1997), <울릉통계연보 (37)> , 경북도청구내출판실
  21. 울릉군 (1998), <울릉통계연보 (38)> , 경북도청구내출판실
  22. 울릉군 (1999), <울릉통계연보 (39)> , 경북도청구내출판실
  23. 울릉군 (2000), , 경북도청구내출판실
  24. 울릉도 기독교 구십년사 편찬위원회 (1999), <울릉도 기독교 90년사 (1909-1999)> , 포항 혜인칼라인쇄
  25. 울릉문화원 (1996), <울릉문화 (3)> , 태일사
  26. 울릉문화원 (1998), <울릉문화 (4)> , 학원사
  27. 이선근 (1963), '근세 울릉도문제와 검찰사 이규원의 검찰성과 - 그의 검찰일기를 중심한 약간의 고찰,' <대종문화> 제1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편
  28. 이진명 (1998), <독도 지리상의 재발견> , 삼인
  29. 조강희 . 조승연 (1999), '독도, 울릉도민의 사회조직과 경제생화,' <울릉도 . 독도의 종합적연구>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85-314
  30. 한상복 . 권태환 (1993), <중국 연변의 조선족; 사회의 구조와 변화> , 서울대지역연구 총서(1)
  31. 한상복 (1996), <동해의 울릉군독도 연구자료집> , 부산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32. 한상복 . 전경수 (1992), '울릉도 . 독도,' <한국의 낙도 민속지> , 집문당, 453-512
  33. 한상복 (1998), <해양학에서 본 한국학> , 해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