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 발행 : 2004.03.01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질문지 조사를 통해 154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5명의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을 비교하고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는 과학영재 집단이 일반 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나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관성 역시 과학영재 학생들이 일반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 모두 스트레스, 완벽성, 학업성취는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se two groups. 154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145 general students from C middle school in Inch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ellow; In case of the gifted group, perfectionism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 stress of the comparative group was higher than the gifted group. The gifted groups felt less stress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ase of the gifted group, optimism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It is independent in the co-relationships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휘(편) (1996). 영재 학생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필요.충분조건들: 가정, 영재자신, 학교의 역활. 서울: 원미사
  2. 문정화, 하종덕 (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3. 민경환 외 (1995). 낙관주의와 비관주의: 개념화와 중요논제들. 학생생활연구, 30.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4. 박성익 (1995). 영재교육에 있어서의 교수방법 및 교수전략. 영재교육연구, 5(1)
  5. 변영주 (1995).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비합리적인 신념 및 스트레스의 상호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심재영, 김언주 (2003). 영재성 요인의 분야벌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13(2)
  7. 염영미 (1998). 대학생을 위한 낙관성 훈련 프로그램.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8. 육근철 (1992).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Stress)에 관한 연구. 과학영재연구, 1(1)
  9. 윤여흥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19(1)
  10. 윤현석, 김언주 (2002). 영재들의 낙관성 수준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2(1)
  11. 이국행 외(2003).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3(2)
  12. 이군현 외 (1997). 과학영재의 감성지능(EQ)에 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13. 이화국 (1999). 과학영재교육센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영재의 선발과 교육 그리고 평가. 춘계학술세미나, 서울: 한국영재학회
  14.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Davids, H. B., & Connell, J. P. (1985). The Effect of Aptitude and Achievement Status on the Self-system. Gifted Child Quarterly, 29(3), 131-135 https://doi.org/10.1177/001698628502900306
  16. Guilford, J. P. (1954).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17. Hewitt, P. L., & Dyck, D. G. (1986). Perfectionism, stress,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0
  18. Hewitt, P. L., & Fleet, G. L. (1991). The Multidimensional of Perfectionism Scale: Relability, valid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in psychiatric samples.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 464-468 https://doi.org/10.1037/1040-3590.3.3.464
  19. Platow, J. A. (1984). A handbook for identifying the gifted/talented. U.S.A.: Ventura Country Superintendent of Schools Office
  20. Renzulli, J. S. (1978). The Enrichment Triad Model. Creative Learning Press
  21. Scheier, M. F., & C. S, Carver(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 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6), 1063-1078 https://doi.org/10.1037/0022-3514.67.6.1063
  22. Seligman, M. E. P. (1991). Learned helplessness. Sydney : Griffn Press Limited
  23. Seligman, M. E. P. (1990). Learned Optimism. New York : Knopf. 박노용, 김혜성 역 (1996). 낙관성 훈련(상, 하). 서울: 오리진
  24. Seligman, M. E. P. (1996). Learned optimism. New York: Pocket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