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iew Character of Mountainscape of a City according to Visual Point Level - In a Case of Mt. Uam -

시가지내 산악경관의 시점 높이별 조망 특성 - 청주시 우암산을 대상으로 -

  • 정정섭 (청주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권상준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조태동 (강릉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have performed a T-test to se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 or visual point level and independent variable or visual quantity is in order to clear up the correlation between pattern of visual point and visual quantity by the constituents of a view from a different visual point lev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the character of Mt. Uam landscape of the city, Uamsan is set as a fixed point and about a direction of view(D), the north is a datum point from which the range of direction is distributed within 1800 westwardly and the visual range(R) is also within 2000m. An elevation is an average of 7.40 and the average story of the buildings is 3.85. Here the height of a story is about 4m so the average of the visual point difference is estimated at 15.4m. 2) The type of visual point is divided into the intersection group and the front of the highly used public buildings group. Double intersection types account for about 78.80%(52 spots) which forms a majority part of LCP. 3)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visual point level divided by eye level and that of the top of the buildings has been proved that there's a sharp difference resulted from t-test at 1 % significant level.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elevation from height difference(l5.93m), however, has not been shown. 4) From the result of T-test about visual quantity by the elements of a view from a different visual point level, the visual quantity of mountain(VQM), sky(VQS), ground(VQG) is significant at about 1% each and that of building(VQB) is at about 5%. The difference in visual quantity of a mountain by the visual point level is at about 4% which can meet a marginal level of LCP necessary for evaluation of mountainscape.

Keywords

References

  1. 권상준, 1996, 도시의 쾌적성과 도시경관계획, 호서문화연구, 14, 67-105.
  2. Kwon, S. Z., 1995, A Study on Visual Analysis of the Townscape Perservation by Control Line Model in Historical Cities, IFLA Eastern Regional Conference, 95-1, 171-182.
  3. 안양시, 2001, 안양시 도시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연구, 1-162pp.
  4. 경기개발연구원, 1998, 도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211pp.
  5. 김기호, 1996, 게쉬탈트 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3), 143-157.
  6. 청주시, 1997, 청주시 스카이라인 보존 관리에 관한 연구, 청주시 보고서, 1-109pp.
  7. 양병이, 2002,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 방안, 환경논총, 40, 149-169.
  8. 안양시, 2003, 안양시 도시경관형성 실시설계, 안양시보고서, 1-106pp.
  9. 채병선, 서종주, 1994, 시각특성을 통한 건축물 규제기준과 경관통제점 설정에 관한 연구, 도시 및 환경연구, 9, 134-149.
  10. 임승빈, 신지훈 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57-166.
  11. 오규식, 1996, 도시경관의 시각적 한계수용능력(VTCC) 설정과 그 활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2), 97-110.
  12. 최윤, 조동범, 1994, 도시주변 능선녹지를 배경으로 하는 아파트 경관의 시가적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2(2), 81-103.
  13. 강병기, 최종현, 임동일, 1995, 도성 주요시설의 입지.좌향에 있어 산의 도입에 대한 시각적 특성해석의 시론, 국토계획, 30(4), 251-264.
  14. 이용자, 1993, 컴퓨터 시각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경관의 선호도 조사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1pp.
  15. 이건호, 최봉문, 1993, 도시경관 보존을 위한 건축물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건축 도시환경연구, 1, 121-144.
  16. 정정섭, 권상준, 조태동, 2004, 시가지내 산악경관관리를 위한 조망점의 수직상향 이동의 검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 366-374.
  17. 홍형순, 1998, 도시경관 정체성을 형성하는 심상풍경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pp.
  18. 임승빈, 1998, 조경이 만드는 도시, 서울대학교 출판부, 261-322pp.
  19. 임재현, 2002, 스카이라인 경관의 유형별 이미지와 평가 요인의 계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4pp.
  20. 서울특별시, 2001, 가로구역별 건축물 최고높이 지정을 위한 연구, 31-7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