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essel Traffic Safety Assessme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okpo Bridge

목포 연육교 건설에 따른 선박 통항 안전성 평가

  • 양찬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공인영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이창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A bridge which connects Mokpo North Harbor and Goha Island is going to be constructed until 2009. For the bridges being built in the navigable water area, it is indispensible to carry out vessel traffic safety assessment from the viewpoint of shiphandlers, however, there exist no specific guidelines for the necessary conditions which the bridge designers can rely on. In this paper, traffic safety assessment procedures for the layout of the bridge are briefly introduced, and the conditions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t the initial design stage of the bridge are surveyed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the bridge design, ship navigation simulations, such as RTS( real time simulation) and FTS(fast time simulation), a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which are statistically analyse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ship and the pier of the bridge.

현재 목포 북항과 고하도를 연결하는 목포 연육교의 건설이 추진 중에 있으며, 이 교량은 2009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항행수역에 건설되는 교량에 대해서는 선박 운항 측면에서의 안전성 평가가 필수적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포 연육교 평면 배치 계획에 대한 선박 운항 측면에서의 평가 절차를 소개하고, 교량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교량의 주경간 등 전반적인 배치 계획에 대한 평가를 위해, 대상 해역에 교량이 건설된 상황을 설정하여 실시간 시뮬레이션(real time simulation) 및 배속 시뮬레이션(fast time simulation) 등의 운항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선박과 교각과의 충돌위험도를 추정하기 위해, 항로상에서의 선박의 항행 궤적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http://www.moct.go.kr.
  2. 건설교통부 익산 지방 국토 관리청(2003), 목포시 관내 국도대체 우회도로(고하-죽교) 기본설계보고서.
  3. 공인영.손남선.조현기(2001), 선박 자동 운항 알고리듬에 의한 선박운항 안전성 평가, 선박해양기술, 32호, pp.1-10.
  4. 기획예산처(2000), 목포 신외항 진입도로(해저터널) 타당성 조사 용역.
  5. 목포시(1997), 목포 국도대체 우회도로 예비 타당성 조사 연구.
  6. 목포지방해양수산청(2003), 해양수산 중장기 발전 계획.
  7. 양찬수.공인영(2003), 선박과 교량의 상호작용: 일본 오사카항에 있어서 교량과 항행환경 조사, 선박해양기술, 36호, pp.23-29.
  8. 윤명오.김현종.금종수.성유창(2003), 선박의 교량하통항 안전성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9권, 제2호, pp.31-37.
  9. 해양수산부(2001), 인천 국제공항 제2연육교 선박운항 안전성 평가 연구용역.
  10. 해양수산부(2002), 해양수산통계연보.
  11. 藤井弥平.卷島勉.原潔(1981), 해상교통공학, 海文堂, p.204.
  12. 庄司邦昭(1991), 선박의 항행수역에 만들어지는 교량의 안전대책, 航海, 제108호, pp.26-36.
  13. 庄司邦昭(1999), 교량에 대한 선박 충돌 사고와 신소재 교각 방호 시설, 日本船長協會 船長, 제116호, pp.52-68.
  14. AASHTO(1991), Guide Specification and Commentary for Vessel Collision Design of Highway Bridge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15. Duan, L. and Chen, W-.F.(1999), Bridge Engineering Handbook, CRC Press, p.2000.
  16. Elzinga, Th. and Bogaerts, M.P.(1984), A Simulation Study for LNG Transport by GAS Carrier to Eeemshaven, Proceedings of MARSIM 84.
  17. Gluver, H. and Olsen, D.(2001), Survey of Ship Tracks in Fehmarn Belt, 2nd Intnational Conference on Collision and Grounding of Ships, Denmark, pp.13-22.
  18. Larsen, O. D.(1993), Ship collision with bridges - the interaction between vessel traffic and bridge structure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ing (IABSE), Structural Engineering.
  19. National Research Council(1983), Ship Collisions with Bridges-The Nature of the Accidents, Their Prevention and Mitiga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0. Yang, C.S.(2003), Review of Marine Traffic Flow Studies For Vessel Collision Design of Bridges, 2nd Joint Seminar Korea/Japan on Maritime Safety Assessment, pp. 4-1 - 4-4,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21. Witt, Franz G. J.(1981), Analysis of Simulated Maneuvers, Proceedings of MARSIM 81,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