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메이크업에 표현된 추 이미지에 관한 연구 -색채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gliness Images Expressed in Modern Make-up -Focused on the Color Expressions-

  • 변영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발행 : 2004.08.01

초록

Since around 1990. some experimental and shocking ugliness images have been expressed in Fashion and Make-up as well as Fine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ugliness images expressed in Modern Make-up from 1995 to 2003, especially focusing on color, and to enlarge the expressions through formative elements and to anticipate the prospect of Make-up in the future. Ugliness is the most negative aesthetic value which is lack of beauty. The 20 century art trends representing the ugly shape have been distorted or deformed or destroyed and extremely exaggerated with yellow, red, black, blue, white, green. The image and color of ugliness can be summarized as historical, avant-garde, decadence, de-constructive, humorous, futuristic trend and Most of colors are the achromatic ones like black, white, dark gray and red. blue, dark brown and so on. These colors cause some negative attributes such as fear. anger, death, devil, Pain, bad, ill omen, sorrow, despair and the like. At the turning Point in 21C are to be extended the range of colo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attempts such as informal, collage, graphic and the forth.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ugliness images expressed in the color of Modern Make-up have been analyzed into formlessness and inaccuracy and deformation by Karl Rosenkranz's theory.

키워드

참고문헌

  1. 채금석 (2002). 현대복식미학. 서울: 경춘사, p. 12
  2. Aristotle, S. H. Butcher (1961). Poetics. New York : Hill and Wang, pp. 7-8
  3. 논장 편집부 (1998) . 미학 사전. 서울: 논장, p. 405
  4. 김문환 (1989). 미학의 이해. 서울: 문예출판사, p. 89
  5. 윤순향 (1985). Karl Rosenkrantz에 있어서의 추의 미학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48
  6. 천재욱 (1992). 현대 예술 사조가 조경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해체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3-84
  7. Matei Calinescu, 이영욱 (1993).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서울: 시각과 언어, pp. 125-157
  8. 캐롤 스트릭 랜드. 김호경 (2000), 클릭, 서양미술사 서울: 예경 출판사
  9. 김래현 (1990). 표현주의 문학운동의 성격과 문제점. 서울: 민음사, p. 139
  10. 이명재 (1991). 현대미술에 있어서 원시적 상징성의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1-45
  11. Edward Luice Smith (1969). 임영방, 김춘길 공역 (1981). 전후현대미술, 서울. 장학사, p. 33
  12. 유승옥, 이은영, 황선진 (1996).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pp. 238-329
  13. Ihab Hassan (1985). Post-Modenism. 서울: 종로서적, p. 420
  14. 권택영 (1993).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p. 429
  15. Caroline Evans & Minna Thorton (1989). Woman & Fashion. New York: Qurtet Book, pp. 59-80
  16. 김현미 (2000).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메이크업의 특성.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59
  17.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된 유희성. 복식 (22), p. 75
  18. 송영경 (1999), 현대 복식에 나타난 디스토피아 경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52-53
  19. 안선경 (1994) 현대복식에 표현된 추의 개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2
  20. 김현미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메이크업의 특성. 1990년대 후반 캣워크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