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원생대 및 중생대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c Study of the Proterozoic and Mesozoic Rocks in the Kyeonggi Massif

  • 석동우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 도성재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 ;
  • 김완수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발행 : 2004.08.01

초록

한반도의 북중국/남중국지괴와의 연계성 및 충돌의 영향을 근거로 한반도의 지체구조적 진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중생대 대동누층군과 원생대 변성암인 서산층군에 대하여 고지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동누층군에 대해서는 26개 지점 239개의 시료 중 14개 지점 106개의 시료에서 생성당시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추출하였다.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경사보정 후 평균방향이 D/I=74.5$^{\circ}$/36.7$^{\circ}$(k=60.7, $\alpha$=5.1$^{\circ}$)이며 이는 경사보정 전의 방향 D/I=61.9$^{\circ}$/52.8$^{\circ}$(k=4.4, $$\alpha$_{95}$=21.5$^{\circ}$)보다 집중된 분포를 나타내므로 암석생성당시 획득된 일차자화임을 지시한다. 경사보정 후의 방향으로부터 계산한 고지자기극은 208.0$^{\circ}$E, 24.5$^{\circ}$N (n=14, K=67.5,$A_{95}$=4.9$^{\circ}$)에 위치하며 중기 트라이아스기 남중국지괴의 고자기극과 통계학적으로 유사하므로 이 기간 동안 대동누층군은 남중국지괴와 지구조적으로 동일했던 것으로 해석되며 남중국지괴와 한반도의 충돌에 따른 변형$.$변성작용에도 일차자화가 보존되었음을 지시한다. 서산층군의 33개 지점에서 채취한 279개 시료의 대부분은 분산된 방향을 나타내며, 오직 쥬라기 화강암 주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36개의 시료로부터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기육괴의 최대 변성시기인 북중국/남중국지괴와의 충돌과 연관된 고생대 말기에서 중생대 쥬라기 시기의 지구조 운동의 영향으로 추측된다. 지층경사보정 이전의 잔류자화 방향은 D/I=45.7$^{\circ}$/60.1$^{\circ}$(k=41.2, $$\alpha$_{95}$=10.6$^{\circ}$)이며 이로부터 구해진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195.0$^{\circ}$E, 51.6$^{\circ}$N(n=6, K=20.8,$A_{95}$=12.4$^{\circ}$)로서 한반도 쥬라기 또는 백악기 초의 고지자기극과 유사하다. 그러나 서산층군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조산운동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조산운동 후기 또는 이후에 쥬라기 대보화강암의 정치와 연관되어 획득된 재자화 방향으로 해석하였다.

A paleomagnetic investigation of the Mesozoic Daedong Supergroup and the Precambrian Seosan Group in the Kyeonggi massif i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tectonic evolution of Korea under the effect of the collision between Korea and the North/South China Blocks. For the Daedong Supergroup, the characteristic direction of D/I=74.5$^{\circ}$/36.7$^{\circ}$(k=60.7, $\alpha$=5.1$^{\circ}$) after tilt correction is better clustered than that before tilt correction (D/I=61.9$^{\circ}$/52.8$^{\circ}$, k=4.4,$$\alpha$_{95}$=21.5$^{\circ}$), indi-cating that it is a primary magnetization acquir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rock. Paleomagnetic pole position of the formation locates at 208.0$^{\circ}$E, 24.5$^{\circ}$N (n=14, K=67.5, $A_{95}$=4.9$^{\circ}$), statistically similar to those of Middle Triassic period of the SCB, revealing that the two had occupied the same tectonic unit during this period. It is observed that only 6 out of 33 sites of the Seosan Group yield remagnetized paleomagnetic direction. The rest of the sampling sites reveals severe dispersion of magnetic directions presumably due to the consequences of the collision between Korea and the North/South China Blocks. The characteristic direction of the Seosan Group is D/I=45.7$^{\circ}$/60.1$^{\circ}$(k=41.2,$$\alpha$_{95}$=10.6$^{\circ}$) and the corresponding pole is at 195.0$^{\circ}$E, 51.6$^{\circ}$N (n=6, K=20.8, $A_{95}$=12.4$^{\circ}$). Although the pole position is close to those of Jurassic period of the Kyeonggi massif and Early Cretaceous of the Kyeongsang basin. it is interpreted that the Seosan Group was remagnetized by the influence of the emplacement of the Jurassic Daebo Granite after or at the closing stage of the orogenic episode rather than under the direct effect of deformation and/or metamorphism caused by the colli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지질학회지 v.33 경기육괴 변성암의 흑운모 Rb-Sr 연대: 지구조적 의미 권성택;전은영;이진한
  2. 지질학회지 v.26 한국 쥬라기의 고지자기 김광호;남기상;이정후
  3. 한국지구과학회지 v.16 한반도 중서부 지각구조와 물성연구 전공-연천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고지자기 김광호;송무영
  4. 한국지구과학회지 v.18 한반도 중서부 지각구조와 물성 연구(III) 추가령열곡 남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고지자기 김광호;송무영;정지곤;김원사;이동우
  5. 부산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옥천대에 분포하는 고생대 및 중생대 지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김성욱
  6. 지질학회지 v.34 충남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김성욱;김인수
  7. 고려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김포분지에 분포하는 트라이아스기 대동누충군에 대한 고지자기 및 암석자기 연구 김수현
  8. 자원환경지질 v.26 김포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김인수;민경덕;이미영;강희철;전희영
  9. 광산지질 v.26 김포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김인수;민경덕;이미영;강희철;전희영
  10. 지질학회지 v.31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I): 특성잔류자기의 추출 김인수;김정필;민경덕
  11. 지질학회지 v.31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II): 지구조적, 층서적 의의 김인수;민경덕;전희영
  12. 자원환경지질 v.34 옥천대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예미지역 고생대 지층의 잔류자기 김인수;김성욱;최은경
  13. 부산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단양분지 일대의 고지자기학적 연구 김정희
  14. 광산지질 v.15 서산층군의 층서 및 변성작용 나기창;김형식;이상훈
  15. 한국의 지질 대한지질학회
  16. 광산지질 v.26 백운산 향사대에 분포하는 동고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도성재
  17. 광산지질 v.27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지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도성재;김광호
  18. 지질학회지 v.30 밀양 소분지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도성재;황창수;김광호
  19. 광산지질 v.22 김포지역에 분포하는 김포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민경덕;이윤수;Shibuya, H.;Sasajima, S.;Nishimura, S.;기정석;김문환
  20. 광산지질 v.25 충남탄전에 분포하는 대동층군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민경덕;엄정기;김동욱;최용훈;이윤수
  21. 광산지질 v.23 문경지역에 분포하는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I) 민경덕;이윤수;김원균
  22. 광산지질 v.25 충남탄전에 분포하는 대동층군에 대한 고지자기학적 연구 민경덕;엄정기;김동욱;최용훈;이윤수
  23. 광산지질 v.26 옥천대 북동부에 분포하는 하부 고생대층에 대한 고지자기연구 민경덕;이윤수;김원균
  24. 지질학회지 v.39 정선지역에 분포하는 평안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박용희;도성재;석동우
  25. 석탄자원조사보고서 no.2 충남탄전(I): 성주지역 서해길;김동숙;박석환;임순복;조민조;배두종;이창범;이돈영;유양수;박정서;장윤환
  26. 광산지질 v.4 동아의 선캠브리아기의 층서 손치무
  27. 지질조사소 탄전지질조사보고서 no.7 충남탄전의 정밀지질조사 손치무;정창희;김봉균;이상만
  28. 한국 변성암 동위원소 연대 지도 신성천;진명식
  29. 지질조사소, 탄전지질조사보고서 제6호 충남탄전이 지질조사보고 엄상호;최승오;김승우
  30. 충남탄전 정밀지질조사 보고서 이돈영;유양수;강기우;예종근;유병화(등 10인)
  31. 1:250,000 대전 지질 도폭 설명서 이병주;김동학;최현일;기원서;박기화
  32. 자원환경지질 v.28 옥천대의 중생대 이래의 지구조적 운동에 관한 고지자기 연구 이윤수;민경덕
  33. 한국지질도, 1:50,000 서산-모항도폭 장태우;이상용
  34.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7-28 함탄퇴적분지의 층서연구;충남탄전지역을 중심으로 전희영;봉필윤;이호영;최성자
  35. 암석학회지 v.4 연천-전곡지역에 분포하는 임진강대의 고압 각섬암 조문섭;권성택;이진한;Nakamura, E.
  36.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Rb-Sr법에 의한 한반도 경기육괴의 연대측정에 관한 연구 주승환
  37. J. Geophys. Res. v.96 Revised and synthetic apparent polar wander paths of the African, Eurasian, North American and Indian Plates, and true polar wander since 200Ma Besse, J.;Courtillot, V. https://doi.org/10.1029/90JB01916
  38. Tectonopysics v.183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Cluzel, D.;Cadet, J.;Lapierre, H. https://doi.org/10.1016/0040-1951(90)90187-D
  39. The Island Arc v.1 Geodynamic evolution of Korea: A view Cluzel, D.;Cadet, J. https://doi.org/10.1111/j.1440-1738.1992.tb00058.x
  40. J. Geophys. Res. v.97 Paleomagnetic constraints on the geodynamic history of the major block of China from to the present Einkin, R.J.;Yang Z.;Chen, Y.;Courtillot, V. https://doi.org/10.1029/92JB00648
  41. Proc. R. Soc. Lond. v.A217 Dispersion on a sphere Fisher, R.A.
  42. Earth Planet. Sci. Lett. v.119 Discordance of Jurassic paleomagnetic data from south Chin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Gilder, S.A.;Zao, X.;Coe, R.S.;Wu, H.;Kuang, G.
  43. Geophs. Surveys v.5 Magnetic anisotrophy of rocks and its applicaion in geology and geophysics Hrouda, F. https://doi.org/10.1007/BF01450244
  44. Geophys. J.R. astr. Soc. v.62 The least-square line and plane and the analysis of paleomagnetic data Kirschvink, J.I. https://doi.org/10.1111/j.1365-246X.1980.tb02601.x
  45. Geology of Korea Lee. D.S.(ed)
  46. Nature v.313 Preliminary Phanerozoic polar wander path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Lin, J.L.;Fuller, M.;Zhang, W.Y. https://doi.org/10.1038/313444a0
  47. Nature v.293 Fragmentation of Asia in the Permian McElhinny, M. W.; Embleton, B.J.J.;Ma, X.H.;Zang, Z.K. https://doi.org/10.1038/293212a0
  48. Jour. Petrol. Soc. Korea v.1 A study on the metamorph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 Massif Na, K.C.
  49. Eos v.78 Tectonic interpretation based on 40Ar/39Ar anphibolr ages from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Oh, C.W.;Kim, S.W.;Kwon, S.T.
  50. J. Geomag.Geoelectr. v.41 Remagnetization of Cambrian to Triassic sedimentary rocks of the Paegunsan Synclin of the Okchon Zone, South Korea Otofuji, Y.;Katsuargi, K.;Inokuchi, H.;Yaskawa, K.;Kim, K.H.;Lee, D.S.;Lee, H.Y. https://doi.org/10.5636/jgg.41.119
  51. Geology v.24 Possible eastward extension of Chinese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The Imjingang belt Ree, J.H.;Cho, M.S.;Kwon, S.T.;Nakamura, E. https://doi.org/10.1130/0091-7613(1996)024<1071:PEEOCC>2.3.CO;2
  52. Geological Survey of Chosen Geological atlas of Chosen, Seiyo(Cheongyang), Daisenri (Daecheonri), Fuyo (Buyeo) and Nampo Sheet (1:50,000) Shimamura, S.
  53. The Magenetic Anisotropy of Rocks Tarling, D. H.;Hrouda, F.
  54.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 v.182 Paleomagnetic result from the lower Mesozoic 대동누층군 in the Gyeonggi Block, Korean Pennisula an eastern extension of the South China Block Uno, K.;K-H. Chang https://doi.org/10.1016/S0012-821X(00)00237-5
  55. Geophys. J. Int. v.154 Constraints on the Jurassic swing of the apparent polar wander path for the North China Block Uno, K.;Huang, B. https://doi.org/10.1046/j.1365-246X.2003.01992.x
  56. Jour. Geol. Soc. Korea v.28 Sedimentary Petrology of the Sandstones of the Daedong Group in western part of the Chungnam Coalfield Yu, K-M.;Lee Y.
  57. Methods in Paleomagnetism A.C. Demagnetization of rocks: Analysis of result Zijderveld, J.D.A.;Collinson, D.W.(ed.);Creer, K.M.(ed.);Runcorn, S.K.(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