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ymbolism of Mourning Dress - Focused on Mourning Dress -

상복에서의 상징성 연구 - 상복저고리를 중심으로 -

  • 정옥임 (조선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The ceremonies were roughly categorized into four: coming of 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ral worship. Among them, the funeral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to show ancestral worship. As it symbolizes the worship to ancestors, its procedure was complicated and formalized. It was undoubtedly certain that formalized mourning dresses and complicated table setting for sacrificial services to ancestors were burdens. Although what was symbolized by mourning dress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earers purposes, it was thought that no clothing had such unusual symbolism as mourning dress. When the composition of mourning dress was examined, it was shown that Taoism, family relation of Confucianism or symbolic clothing system of Shamanism were combined. Mourning dress first represented the Confucian idea of ancestral worship. For the composition of clothing in which a shamanistic element was inherent, forms of birds were used to guide the dead soul to the other world. In cutting out mourning dress, opposite concepts of Yin and Yang, and closure and openness were used to show a harmony between heaven and the earth. Male and female were represented through sewing techniques. The period of observing the mourning period depended on the degree of kinship. The degree to which the clothing was loose indicated the degree of sadness and kinship. Load blocks and tear pads indicated the degree of sadness. In considering the above indicators, family relation and filial piety to ancestors had a great effect on the form and details of mourning dress. Shamanistic elements as well as Confucian ones were inherent in mourning dress, which resulted in the combination of Taoism and Confucianism.

Keywords

References

  1. 김두헌 (1936). 오복제도의 연구. 진단학보, 권 5
  2. 정명자 (1975). 오복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최기복 (1980). 유교의 상복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조우현 (1989). 조선시대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조우현 (1994). 유교상복의 조직원리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4)
  6. 이은영 (2000).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p. 25
  7. David Fontana 저, 최승자 역 (2001). 상징의 비밀. 서울: 문학동네, p. 8
  8. David Fontana 저, 최승자 역 (2001). 상징의 비밀. 서울: 문학동네, p. 8
  9. Georges Nataf 저, 김정란 역 (1987). 상징, 기호, 표식, 서울: 열화당 미술선집 59. p. 9
  10. 김원룡 (1998).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p. 52
  11. 최근덕 (1986). 조상숭배와 의례. 한국인류학회지. 제18집, p. 178 재인용
  12. 최길성 (1983). 한국조상숭배의 연구. 한국인류학회지, 제15집, p. 83
  13. 변태섭 (1958). 한국고대의 계세사상과 조상숭배신앙.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 3, pp. 55-95
  14. 최길성 (1983). 한국조상숭배의 연구. 한국인류학회지, 제15집, p. 88
  15. 김규성 (1969). 한국의 고전백선, 신동아 1월호 부록, 사례편람, 동아일보사
  16. 장철수 (1973-74). 중국의례가 한국 의례생활에 미친 영향. 한국인류학회지, 제6집, p. 71
  17. 成俔慵齊叢話. 권 8
  18. 조우현 (1989).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19. 조우현 (1989).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
  20. 정옥임 (2002). 天. 地. 人 우리옷구성. 서울: 수학사, p. 242
  21. 백영자 (1998). 한국의복식. 서울: 경춘사. p. 388
  22.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1). 조선시대 궁중복식. 서울: 고려서적주식회사. p. 104
  23. 정옥임 (2002). 天. 地. 人 우리옷구성. 서울: 수학사, p. 242
  24. 송영배 (1998). 인간과 자연. 서울: 철학과 현실사, p. 21
  25. 송영배 (1998). 인간과 자연.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 21-22
  26. 금장태 (1986). 조상숭배의 유교적 근거와 의미. 한국인류학회지, 제18집. p. 76
  27. 금장태 (1986). 조상숭배의 유교적 근거와 의미. 한국인류학회지, 제18집. p. 77
  28. 조우현 (1989).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
  29. 최근덕 (1986). 조상숭배와 의례. 한국인류학회지. 제18집, p. 179
  30. 김성련 (2000). 피복재료학. 서울: 교문사, p. 289
  31. 석주선 (1982). 한국복식사. 서울: 보진제, p. 167
  32. 조우현 (1989).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3
  33. Geoge Rowley 저, 김기수 역 (1980). 동양화의 원리. 서울: 중앙일보사간. p. 105
  34. Mircea Eliade 저, 이윤기 역 (2001). 샤마니즘. 서울: 까치, p. 389
  35. Mircea Eliade 저, 이윤기 역 (2001). 샤마니즘. 서울: 까치, p. 391
  36. Mircea Eliade 저, 이윤기 역 (2001). 샤마니즘. 서울: 까치, p. 392
  37. Mircea Eliade 저, 이윤기 역 (2001). 샤마니즘. 서울: 까치, p. 389
  38. Jon Carter Covell 저, 김유경 역 (1999), 한국문화의 뿌리를 찾아. 서울: 학고재, p. 25
  39. Mircea Eliade 저, 이윤기 역 (2001). 샤마니즘. 서울: 까치, p. 24
  40. Mircea Eliade 저, 이윤기 역 (2001). 샤마니즘. 서울: 까치, p. 411
  41. Mircea Eliade 저, 이윤기 역 (2001). 샤마니즘. 서울: 까치, p. 412
  42. 김희영 편역 (2001). 중국의 고대신화. 서울: 육문사. p. 106
  43. Geoge Rowley 저, 김기수 역 (1980). 동양화의 원리. 서울: 중앙일보사간, p.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