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Contemporary Fashion Shows -Focus on Pret-a-Porter collections after the mid of 1990s-

현대패션쇼의 대중문화적 특성(제1보) -1990년대 중반이후 기성복컬렉션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popular culture theory as a basic framework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show meeting the popular culture, and describes that the show is the popular culture of this generation. The culture is the way of our life unifying the world at common area of human being. The popular culture is to subdivide it into the public culture that shares aesthetic taste, and to borrow each other and develop it mutually because of the collapse of dichotomous boundary with high quality culture, and to represent the people’s thought and behaviour expanding their areas. The author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of modern fashion show by four collections, that is, commercialism, mass media, political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etc: Firstly, at the commercialism, the fashion show combines it with other genre organically to do mass production and sales and produces cultural consumption goods supplying a lot of sight-seeing. Secondly, at the mass media, the image of contemporary fashion show has been spread out with mass media such as fashion magazines, cable TV and Internet beyond time and space to produce advertisement effects and makes new fashion and bring democratic culture. Thirdly, at political relationship, the fashion in its peak can make a big stream of wealth, so that it plays important roles under governmental regulations in this era and governments make efforts to support and develop it. Lastly, at interaction, the fashion show shares media functions to let users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o exchange information as a feedback to influence each other.

Keywords

References

  1. Jamson, F. (1999).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사회. 송연승(역).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윤난지 엮음. 서울: 눈빛, p. 67
  2. Gans, H. J. (1998).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강현두 (역). 서울: 나남출판, p. 119
  3. 강현두 외 (1998). 현대 대중문화의 생성. 서울: 서울대 출판부, p. 6
  4.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pp. 23-24
  5. 원용진 (1996).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 한나래, p. 45
  6.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24
  7. 강준만 (1999). 대중문화의 겉과 속. 서울: 인물과 사상사, pp. 18-19
  8. 박명진 (1993). 문화연구-새로운 시각의 모색을 위하여,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서울: 한나래, p. 13
  9. Gans, H. J. (1998). 대준문화와 고급문화, 강현두 (역), 서울: 나남출판, pp. 29-33
  10. Gans. H. J. (1998).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강현두 (역). 서울: 나남출판, P.159: Sontag. S. Camp. p. 516
  11. 박명진 (1993). 문화연구-새로운 시각의 모색을 위하여,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서울: 한나래, p. 18-20
  12. 강현두 외 (1998). 현대 대중문화의 생성. 서울: 서울대출판부, p. 6
  13.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pp. 53-77
  14.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pp. 53-77
  15. Story, J. (2001).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 An introduetion(3rd ed),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박만준 (역). 2002, pp. 7-21
  16.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193
  17.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ommation. Editionds Deno Paris, pp. 175-178
  18. 월간미술. 1997. 1. p. 160
  19. 강준만 (1999). 대중문화의 겉과 속. 서울: 인물과 사상사. p. 22
  20.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pp. 22-23
  21. 김광호 (1998). 아도르노의 미디어비판에 관한 재조명, 매체미학. 서울: 나남출판, p. 181
  22. 강현두 외 (1998). 현대 대중문화의 생성. 서울: 서울대 출판부. pp. 8-12
  23. 미술비평연구회. 대중시각매체 연구분과 엮음 (1995).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서울: 눈빛. p. 52
  24. 전병재 (1994). 사회심리학 -관점과 이론-. 서울: 경문사. p. 372
  25. Giddens, A. (1995). 현대사회학. 김미숙 외(역). 서울: 을유문화사, pp. 649-650
  26. 전병재 (1994). 사회심리학 -관점과 이론-. 서울: 경문사. pp. 383-388
  27. Winters, A. A. & Goodman, S. (1978). Fashion Advertising and Promotion.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 238
  28. 패션큰사전 편찬 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p. 572
  29. Everett, J. C. & Swanson, K. K. (1993). Guide to producing a fashion show.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 5
  30. Diehl, M. E. (1976). How to produce a fashion show.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 7
  31. Everett, J. C. & Swanson. K. K. (1993). Guide to producing a fashion show.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p. 6-11
  32. Lipovetsky, G. (1999). L'empire de l'ephemere. 패션의 제국, 이득재 (역). 서울: 문예출판사. pp. 150-151
  33. Lipovetsky, G. (1999). L'empire de l'ephemere. 패션의 제국, 이득재 (역). 서울: 문예출판사. p. 157
  34. Korea(2000. 8). p. 74
  35. Singer, S. (2001. 11). Independent's day. Korea, pp. 256-263
  36. 프랑스패션의 역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1. 10. 1. http://www.ktnet.co.kr
  37. 한국패션협회 (1999. 10). 2000 한국패션총람, p. 405
  38. Guerin, P. (1993). Creative fashion presentation. 패션프레젠테이션, 구인숙 (역). 서울: 경춘사, p. 227
  39. Journal du Textile, La cote des Creatures, N 1678/lst Octobre 2001, 96-2000. Mars/Octobre. 프랑스 섬유패션 전문신문
  40. Jarnow, J. Guerreiro, M. & Judelle, B. (1990). Inside the fashion business. 복식산업론. 김문숙(편저). 서울: 경춘사, pp. 129-130
  41. 섬유기술진흥원 (1994. 2). 이탈리아 섬유산업의 발전 현황과 과제, p. 5
  42. 해외컬렉션, 자료검색일 2002.1.15. 자료출처 http.//www.sdn.com
  43. 김종갑 (1996). 섬유. 패션, 이탈리아 스터디. 서울: 한국섬유신문사, p. 47
  44. about 7thonsixth. 자료검색일 2001.12.15. 자료출처 http://www.7thonsixth.com
  45. 섬유기술진흥원 (1993. 12). 미국섬유. 어패럴 교육센터 사례연구, p. 22
  46. 한국패션협회 (1999. 10). 2000 한국패션총람. p. 406
  47. 서봉하 (2002). 한국패션컬렉션 행사의 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26
  48. 2000 한국패션총람 (1999. 10). 한국패션협회. p. 405
  49. 2000 한국패션총람 (2001. 6). 한국패션협회. pp. 229-237
  50. Korea. 1996-2001.12
  51. Korea 별책부록. 1998-2001. 5. 12
  52. modeaparis, 자료검색일 2002. 1. 5. 자료출처 http://www.modeaparis.com
  53.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 자료검색일 2002. 1. 6. 자료출처http://www.cameramoda.com
  54.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 2004.1.6. 재검색 http://www.cameramoda.it
  55. newyorkfashionweek. 자료검색일 2002. 1.10. 자료출처 http://www.7thonsixth.com
  56. newyorkfashionweek. 2004.1.6 재검색 olympusfashionweek.com
  57. londonfashionweek. 자료검색일 2002. 1.11. 자료출처 http://www.londonfashionweek.co.uk
  58. collections. 자료검색일 2002. 2. 3. 자료출처 http://www.vogue.co.kr
  59.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01.12.15. 자료출처 http://www.dongahtv.com
  60. 해외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01.12.15. 자료출처 http://www.sdn.com
  61. 서봉하 (2002). 한국패션컬렉션 행사의 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1-6
  62. Irving, S. (1996. 6). Screen fashion show. Korea, pp. 115-122
  63. Haug. W. F. (1992). 상품미학과 대중문화,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백지숙 (역). 미술비평연구회. 서울: 눈빛. p. 24
  64. 윤올요 (1997). 국내 라이센스 패션잡지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65. Lipovetsky, G. (1999). L'empire de l'ephemere. 패션의 제국, 이득재 (역). 서울: 문예출판사. pp. 7-8
  66. 문화일보 (2002.4.6). 문화면
  67. Kaiser, S. B., Nagasawa, R. H., & Hutton. S. S. (1995a). Construction of an SI theory of fashion: Part 1. Ambivalence and Chang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3), p. 181
  68. Singer, S. (2000. 9). Helmut lang. Korea. p.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