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en′s Indoor and Outdoor Everyday Life of the Late Choson Period as Expressed in Paintings

조선시대 여성의 가내외에서의 일상생활 -조선후기 회화에 나타난 여성을 중심으로-

  • 김성희 (순천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ㆍ가족아동학전공)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omen's indoor and outdoor everyday life including their housework, labor and leisure of the late Chosen period as expressed in paintings. Women's everyday life was classified into their indoor and outdoor life according to the custom of Naeoe, which had confined women's activities in the outdoors. This study analyzed 93 Paintings depicting the Due life of People. As a result, even though the Chosen period was a conservative society dominated by Confucian custom that confined women in the home, most women spent much of their time in the outdoors carrying water, washing clothes and doing farm work. Some common women participated in marketing household product, peddling and managing a drink shop. Especially, servant women such as Kineo, Muneo and Youneo labored in Public offices or Private Place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isconception should be corrected that traditional women's sex role had been confined exclusively in the home.

Keywords

References

  1. 강소혜(1999). 김흥도의 풍속화에 나타난 일하는 장면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립중앙박물관(2002). 조선시대 풍속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3. 국립중앙박물관(2003). 영흔의 여정-조선시대 불교회화와의 만남.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4. 김기복(2001). 조선시대 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여성상 표현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성희(1999). 가사노동의 변화: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149-158
  6. 김성희(2000). 조선시대 비자의 경제활동.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4(1), 69-78
  7. 김성희(2001). 여성의 직조노동과 지위의 변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67-82
  8. 김성희(2002). 전통사회 여성의 사적 영역과 공적영역에서의 노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25-36
  9. 김성희(2002). 한국여성의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의 역사. 서울: 신정
  10. 김영호(1972). 조선후기 수공업의 발전과 새로운 경영형태. 19세기의 한국사회 (171-216). 서울: 대동문화연구원
  11. 김용만(1997). 조선시대 사노비연구. 서울: 집문당
  12. 김용섭(1972). 18.19세기의 농업사정과 새로운 농업경영론. 19세기의 한국사회 (171-216). 서울: 대동문화연구원
  13. 박재환(2000). 일상생활에 대한 사회학적 조명.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편. 일상생활의 사회학(21-43). 서울: 한울아카데미
  14. 백영자(1998).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15. 신혜원(199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여인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안휘준 편저(1986). 국보 19(회화 1). 서울: 예경산업사
  17. 안휘준 편저(1986). 국보 20(회화 2). 서울: 예경산업사
  18. 여성한국사회연구소 편(1999). 새로 쓰는 여성과 한국사회.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19. 유소희(1994). 오륜행실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희경(1983). 한국복식사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 교출판부
  21. 윤열수(2000). 민화(1). 서울: 예경
  22. 윤열수(2000). 민화(2). 서울: 예경
  23. 이태호(2000). 풍속화(하나). 서울: 대원사
  24. 이태호(2000). 풍속화(둘). 서울: 대원사
  25.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사 편찬위원회(1990). 한국여성관계자료집 근세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6. 임영미(1997). 한국의 복식문화(2). 서울: 경춘사
  27. 정병모(1991). 조선시대 후반기의 경직도. 미술사학연구, 192, 36-38
  28. 정병모(2001).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29. 정연식(2001). 일상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 1. 서울: 청년사
  30. 조효순(1995).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서울: 일지사
  31. 조희진(2003). 선비와 피어싱. 서울: 동아시아
  32. 중앙일보사(1985). 한국의 미 8(민화). 서울: 중앙일보사
  33. 지승종(1997). 조선전기노비신분연구. 서울: 일조각
  34.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실(2000). 우리여성의 역사. 서울: 청년사
  35. 한국역사연구회(199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서울: 청년사
  36. 황세은(2002). 조선후기 풍속화의 일상성에 관한 연구-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四方 博(1937). 조선인구에 관한 일연구. 경성제국대학법학회편. 조선사회법제사연구 (56-73). 동경: 암파서점
  38. Utrio, Kaari, 안미현 옮김 (2000). 이브의 역사. 서울: 자작
  39. Lefebvree, H. (1961). 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 t. 2. Paris: L'Arche Edite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