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Rice Hull Addition and Bin Wall Characteristics on Pig Slurry Composting Properties

왕겨 이용 방법과 옹벽이 돈분 퇴비화에 미치는 효과

  • ;
  • Craig, Ian P (NCEA(National Centre For Engineering in Agriculture, University of southern Queenslan) ;
  • ;
  • ;
  • ;
  • ;
  • 김태일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
  • 정종원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 ;
  • 홍의철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 ;
  • 방우람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 ;
  • 유용희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 ;
  • 양창범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ice hull continuously utilized and/or replenished on the composting properties and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between an unsupported wall and a soil supported wall during the period of composting with pig slurry in winter season. There were no the temperature holding effects in soil supported wall. New compost facility design for the temperature holding effects from a soil supported wall was requi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osting 1㎥ of pig slurry caused to save on 0.31㎥ of bulking agent in the unsupported wall in comparison with a soil supported wall in the rice hull single addition, and 0.45㎥ in the rice hull gradual addition. 2. The pile in the rice hull single addition had a high temperature in 4 days of composting indicating $71^{\circ}C$ and had a tendency in repeating periodically between $40^{\circ}C$ and $65^{\circ}C$ till 43 days of composting. And also the temperature of the pile was maintained between $48^{\circ}C$ and $28^{\circ}C$ after 50 days of composting. The pile of a rice hull gradual addition had the lower point of the temperature high increasingly according to adding up rice hull during the 35 days of composting. 3. The pH recorded in the rice hull single addition was higher(8.35∼10.02) compared to the rice hull gradual addition(8.6∼9.8). The pile of a rice hull single addition had a tendency in abruptly decreasing pH of the unsupported wall during the period of between 0.363$\textrm m^3$ and 0.537$\textrm m^3$ as a unit of pig slurry per rice hull. EC depending upon the way in adding rice hull was changed between 1.10 mS/$\textrm {cm}^3$ and 1.87 mS/$\textrm {cm}^3$. 4. The organic matter in an unsupported wall of the hull single addition was maintained the level of 55% during the period between 0.119㎥ and 0.363㎥ as a unit of pig slurry per rice hull while in the soil supported wall between 48 and 70. Water soluble C:N ratio was maintained between 1 and 2 in the rice hull single addition, while between 1 and 3 in the rice hull gradual addition. 5. Fertilizer constituents were detected higher level in the unsupported wall than in the soil supported wall in all treatments. This was dependant upon the input of pig slurry.

본 연구는 왕겨를 이용한 돈분 슬러리의 퇴비화시 부재료의 1회 투입과 부재료 재이용을 통해 부재료의 이용방법이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비교함으로서 겨울철 퇴비화 시설에서 보온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토양지 지대가 있는 경우의 보온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퇴비사의 설계가 요구되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재료 1회 투입으로 퇴비화시 돈슬러리 1㎥를 퇴비화 하는데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보다 지지대 없는 경우가 왕겨 소요량이 0.31㎥, 부재료의 충전의 경우 0.45㎥를 절약할 수 있었다. 2. 부재료 1회 투입으로 퇴비화 할 때 퇴비화 4일령에 퇴적더미의 온도가 $71^{\circ}C$에 도달한 이후 43일령까지 $40^{\circ}C$에서 $65^{\circ}C$를 주기적으로 반복되었고 50일 이후에는 $48^{\circ}C$에서 $28^{\circ}C$가 유지되었다. 부재료 재충전으로 퇴비화 하는 경우 부재료의 재충전 시점마다 퇴비화의 저점온도를 높여 가는 양상을 보였다. 3. 부재료 1회 투입 퇴비화시 pH는 8.6에서 9.5 사이에서 검지되었고 왕겨 1$\textrm m^3$당 돈슬러리 0.363$\textrm m^3$과 0.537$\textrm m^3$의 사이에서 지지대 없는 경우의 pH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재료 재충전 퇴비화시 8.35에서 10.02 사이에서 검지 되었다. 퇴비화시 전기전도도는 1.10mS/$\textrm {cm}^3$∼1.87mS/$\textrm {cm}^3$의 범위에서 변화를 보였다. 부재료 이용 방법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큰 차이를 보여 주었다. 4. 부재료 1회 투입 퇴비화시 유기물 함량 변화는 왕겨 1$\textrm m^3$ 당 돈 슬러리 0.l19$\textrm m^3$에서 0.363$\textrm m^3$의 구간에서 지지대 없는 경우는 55%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는 48%에서 70%의 범위를 반복하였다. 0.363$\textrm m^3$ 이후의 유기물 함량은 지지대 없는 경우나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나 점증되는 양상을 보였다. 부재료 1회 투입으로 퇴비화시의 수용성 질소 대 수용성 탄소의 비는 1과 2 사이를, 부재료 재충전 퇴비화시의 경우는 1과 3 사이를 반복하였다. 5. 부재료 1회 투입으로 퇴비화시는 왕겨 1$\textrm m^3$당 돈 슬러리 0.639$\textrm m^3$에서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의 질소, 인산, 가리의 성분은 각각 0.36%에서 2.29%로, 0.26%에서 1.41%로, 0.65%에서 2.96%로 증가하였으며 지지대 없는 경우보다는 낮게 검출되었다. 부재료 재충전 퇴비화시는 왕겨 1㎥당 돈 슬러리의 량에 따라 달라졌으며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 및 지지대 없는 경우의 질소 함량 범위는 각각 1.96%∼2.24%, 2.04%∼2.52%로 토양지 지대가 있는 경우가 지지대 없는 경우보다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인산의 함량에 있어서도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의 범위가 1.12%∼1.60%인 반면 지지대 없는 경우는 1.32%∼1.82%로 나타나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가 지지대 없는 경우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가리의 경우도 질소와 인산처럼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가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