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Form of Castle Town and Modern Transformation of Eupchi(county seat) Landscape in Naepo Area, Korea

내포지역 읍성 원형과 읍치경관의 근대적 변형 -읍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

  • 전종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In principal, the original form of Eupchi landscape in Naepo reflects a traditional idea regarding direction as a connection with one's fortune and naturalization strategy of power. In reality, the weight for the landscape inside the castle town was distinct by localit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natural geographies and main function of the castle town.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Eupchi landscape was shaped under the fixed principles but it was simultaneously reflecting the local temporality and spatiality. As Chosun Dynasty went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Eupchi in the traditional period started to evolve into a modem city. That is to say, the traditional Eupchi as a political place became to change into the center of capital accumulation, stronghold of economy and education, and center of town beyond the function as a place for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Therefore, the process of change from the landscape of Eupchi to a modem city was a kind of revolution in the form and function, and it was also a very rapid rearrangement of social space. The disparate element of landscape and double social space worked as a vital inertial element in the urban structure of Naepo area until the post independence and evolution of landscape.

이 글은 내포지역의 읍성 연구를 사례로 음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에 접근한 것이다. 한반도의 서 남해안 일대는 방어상의 이유와 넓은 하안 충적평야, 해안 저지대의 농경제적 가치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우선적으로 읍성 축조가 이루어졌다. 내포지역은 그러한 대표적인 공간이다. 내포지역의 읍치경관 원형은 방위와 길흉의 연관성에 대한 전통적 관념이나 권력의 자연화 전략을 반영하며 일정한 원칙 하에 조형되면서도 국지적 단위의 시 공간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조선시대동안 초기 읍성이 지닌 공간성은 군사적 공간으로부터 점차 정치 행정적 중심지로 변화하여 갔다. 일제강점기가 되면, 전통시기의 읍치가 통치 행정 치소로서의 기능을 넘어 자본 축적의 중심, 경제와 교육의 거점, 촌락 공간의 중심지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내포지역에는 개항지가 설치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인의 읍성안 토지 장악은 주요 개항지의 그것보다 훨씬 더 전면적이었다. 더욱이 읍성 공간을 천한 공간으로 여기던 전통적 인식은 조선인들의 신속한 읍성 이탈을 부추긴 반면, 읍성 공간이 갖는 정치, 경제, 사회적 중심성과 서비스업에 종사함으로써 얻은 풍부한 자본력은 일본인들의 광범위한 토지 점유를 가속화한 흡입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미 1920년대부터 구읍성 일대는 통치 기능 외에 금융, 상업, 교육, 교통 기능의 중심지이자 새로운 도시 문제의 발원지로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공간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제강점기 동안의 경관 변형은 기존 거주민(조선인)에 의해서가 아닌 대체 거주민(일본인)을 통해 주도되었고, 결과적으로 그것은 형태와 기능상의 변혁이었음은 물론이고 매우 급격한 사회공간적 재편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高麗史(北譯) 북한사회과학원(편)
  2. 大東地志
  3. 瑞山郡誌(上下) 李敏寧
  4. 新增東國輿地勝覽
  5. 與地圖書
  6. 朝鮮王朝實錄 CD-Rom
  7. 忠淸道邑誌
  8. 湖山錄 韓汝賢
  9. 大地主名 朝鮮總督府
  10. 古地圖 서산군지도(奎10416), 면천군지도(奎10419), 태안군지도(奎10422). 홍천군지도(奎10423), 결성군지도(奎10427)
  11. 舊土地臺帳(서산시청 소장, 일체하 서산군 서산면 읍내리 일원)
  12. 新聞資料(조선중앙일보. 1934.1. 17. 1936. 1. 22:매일신보, 1939. 4. 5.)
  13. 地籍原圖(정부기록보존 소장)
  14.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나주 나주의 근대도시 발달과 공간의 이중성 고석규;박찬승(외 공저)
  15. 문화역사지리 v.12 no.1 1910年代 榮山浦 市街地 形成過程 김경수
  16. 대한지리학회지 v.37 no.4 조선-일제강점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 김기혁;김성희
  17. 문화역사지리 v.13 no.2 歷史 都市 晉州의 景觀解讀 김덕현
  18. 민족문화논총 v.25 대한제국 말기 대구지역의 계몽운동과 대한협회 대구지회 김일수
  19. 한국학술진흥재단기초학문육성사업 결과보고서, KRF-2002-072-AM1008 충청남도 內浦地域 지역 엘리트의 재편과 근대화 내포지역 연구단
  20. 국토계획 v.59 한국의 도시형태학에 관한 시론적 연구- 호남평야의 도시들을 중심으로- 류제헌
  21. 사회와 역사 v.62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형성 과정 박찬승
  22. 도시문제 v.8 no.11 풍수지리설이 도읍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손정목
  23. 한국 개항기 도시 사회경제사 연구 손정목
  24.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손정목
  25. 한국 읍성의 연구 심정보
  26. 국토계획 v.35 no.3 독일의 도시형태학 발전고정에 관한 연구 Ⅰ 양승우
  27. 국토계획 v.33 no.6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원리에 관한 연구(Ⅰ) 예명해
  28. 지리학 v.32 개항장과 근대도시 형성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 군산항을 중심으로 - 윤정숙
  29. 공간과사회 v.15 경복궁과 구 조선총독부 건물 경관을 둘러싼 상징물 전쟁 윤홍기
  30. 서산의 문화 우리지방 유적지를 찾아본다 이은우
  31. 한국정원학회지 v.20 no.4 일제강점기 군산의 도시경관변천에 관한 연구 이원호(외)
  32. 지리학 v.29 京城府의 民族別 居住地 分離에 간한 硏究 이혜은
  33. 대한지리학회지 v.33 no.4 古淸州의 空間的 配置아 象徵性-政治-文化地理學的 시각- 임덕순
  34.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일제하 나주면의 도시경관변화 전근완
  35. 대한지리학회지 v.38 no.2 내포지역 海開拓의 전개와 景觀變化의 사회적 주체 전종한
  36.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計劃系 v.19 no.8 일제시대 홍주읍성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 필지체계 및 소유권 변화를 중심으로 - 최상식(외)
  37. 지리학총 v.10 경관적 표현과 공간인식 최기엽
  38. 지리학 v.10 開淃 前後의 仁川의 自然 및 人文景觀 최영준
  39. 人文地理 v.53 no.2 日本統合時代における韓國の農村地域の變容 - 慶尙北道慶州市江東面における地籍資料の分析お中心に 山元貴繼
  40. 人文地理 v.55 no.4 日本統合時代における朝鮮半島 木浦府周?の空間的變容 - 地籍資料の分析お中心に 山元貴繼
  41. 都市計劃の實驗場としての植民地 荒山正彦(外) 空間から場所へ 澁谷鎭明
  42. Transaction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v.21 Some Reflections on the Geographical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ownscape Smailes,A.E.
  43. The Relations of History and Geography: Studies in England,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Darby,H.C.(ed.)
  44. (re)reading the Landscape, Environment and Planning D v.6 Duncan,J.;Duncan,N.
  45.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4th ed.) Johnston,R.J.(et al.)
  46. Power/Knowledge Foucacult,M.;Colin Gordo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