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 Type and Household Structures of South Kyongsang Provinc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가호안』 분석을 통해 본 개화기 경상남도의 가옥형태와 구조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Household Register of South Kyongsang Province compil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1904 keeps complete details on local houses of eleven out of a total of thirty-one counties in the district. This study examines, band on e analysis of the primary source materials, e specifics of traditional housing of South Kyongsang Provi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agnitude of housing lots, size of dwellings, land and house ownership, and distribution of thatch and tile roof houses by dong, myon and county. Findings from the survey of the household register suggest that approximately 20 percent of households were established on the private or rented public lands, that 90 percent resided in undersized housing with just one or two rooms besides a kitchen, and that the regional average of dwelling size was no bigger than 2.75 rooms. The fact clarifies that the three-room thatch houses prevailed in South Kyongsang Province about a century ago. The miserable living conditions were tranalated into a constricted personal space of 2 to 4 square meters and a small-size household of less than 4 family members.

1904년 대한제국 정부에서 간행한 $\boxDr$경상남도가호안$\boxUl$은 총 31개군 가운데 11개군의 자료가 현전하는데, 이 자료는 당시 이 지방의 민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논문은 제1차자료인 가호안의 분석을 통하여 동ㆍ면ㆍ군별 가좌의 토지등급ㆍ가옥의 규모, 가좌와 가옥의 소유관계, 초ㆍ와가의 분포 등을 파악한 연구이다. 가호안의 분석결과 전체 가호의 약 20%는 사유지 또는 국공유지를 임대한 가좌에 지어졌다. 또한 가옥의 90%는 방 한칸 또는 두칸에 부엌이 딸린 집이었으므로 지역의 가옥규모는 2.75칸에 불과하였다. 다시 말하면 100년전 경상남도의 가옥규모는 조선시대의 이상 가옥형인 삼간초옥에도 못미쳤던 것이다. 이러한 열악한 주거조건 때문에 1인당 점유공간이 2-4평방미터에 불과하며 결과적으로 수용가능한 가족의 수도 4인 내외로 한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去來存案 光武2年
  2. 京畿仁川淃畓洞戶籍 光武2年
  3. 京畿仁川淃杻峴外戶籍帳 光武2年
  4. 經世遺表
  5. 經國大典
  6. 慶尙南道家戶案 晋州·成陽·成安·東萊·昌原·機張·三嘉·丹城·鎭海·鎭南·金海(奎17944-17954) 光武8年
  7. 慶尙南道丹城部戶籍表 南面元堂里 光武8年
  8. 慶尙南道東萊郡沙中面量案 (奎18111~1)) 光武8年
  9. 慶尙南道東萊郡沙下面量案 (奎18111~2) 光武8年
  10. 慶尙南道宜寧郡上井面戶口調査表 建陽2年
  11. 慶尙道邑誌
  12. 慶尙北道安東郡巳亥式籍表 4南先面 光武3年
  13. 官報
  14. 大典會通
  15. 磻溪隨錄
  16. 山林經濟
  17. 尙州郡各屯驛田畓永定賭稅成冊 (奎17912)
  18. 星湖僿說
  19. 嶺南驛誌
  20. 朝鮮後期地方地圖 慶尙道
  21. 度支志
  22. 韓國戶口表
  23. 海東地圖
  24. 朝鮮時代 商工業史硏究 姜萬吉
  25. 戶籍大帳에 나타나는 사람들 戶口出入을 통해 본 18세기 戶籍大帳의 編制方式 김건태
  26.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Ⅰ) 金容變
  27. 朝鮮後期農業史硏究(下) 金容變
  28.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 金容變
  29. 釜山近代都市形成史硏究 金義焌
  30. 韓國의 民家 金鴻植
  31. 民族建策論 金鴻植
  32. 舊韓末韓半島地形圖 南영佑(編)
  33. 慶尙南道이 鄕土文化(上) 경상남도의 성씨와 씨족 박병련;조강희
  34. 한국의 살림집 상 申榮훈
  35. 閑屋의 造營 신영훈
  36. 한옥의 향기 신영훈
  37.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 대한제국기 토지조사 사업의 의의 이영하
  38. 朝鮮後期 社會經濟史 李榮薰
  39. 歷史學報 v.86 新羅帳籍을 통해, 본 統一新羅의 村落支配體制 李種旭
  40. 韓國史硏究 v.25 新羅統一期의 村落支配와 孔烟 -正倉院所藏의 村落文書의 재검토- 李泰鎭
  41. 韓國社會史硏究 李泰鎭
  42.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이헌창
  43. 仁荷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7·18세기 丹城 ‘地城’ 住民의 身分變動에 관한 硏究 林學成
  44.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智異山地 定佳化의 歷史地理的 硏究 丁致榮
  45. 慶尙南道의 鄕土文化(上) 경상남도의 가옥 崔永俊
  46.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 大韓帝國期 量田과 民契發給事業 최원규
  47. 韓國家族制度史硏究 崔在錫
  48. 韓國戶籍製圖史硏究 崔弘基
  4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8 no.2 朝鮮時代 禮的 次序?系와 建策의 配置構造에 관한 연구 洪升在
  50. 朝鮮土地調査事業事の硏究 宮嶋博史
  51. 朝鮮學報, 147輯 戶籍から見た20世紀初頭ソウルの人と家 吉田光男
  52. 朝鮮の小作궤行(上卷) 小野寺二郞
  53. 韓國戶口表 越智財政顧問本部
  54. 舊韓國地方行政地城名稱一覽 朝鮮總督府
  55. 朝鮮總督府統計年譜
  56. Landscapes of Settlement: Prehistory to the Present Roberts,B.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