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04년 대한제국 정부에서 간행한 $\boxDr$경상남도가호안$\boxUl$은 총 31개군 가운데 11개군의 자료가 현전하는데, 이 자료는 당시 이 지방의 민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논문은 제1차자료인 가호안의 분석을 통하여 동ㆍ면ㆍ군별 가좌의 토지등급ㆍ가옥의 규모, 가좌와 가옥의 소유관계, 초ㆍ와가의 분포 등을 파악한 연구이다. 가호안의 분석결과 전체 가호의 약 20%는 사유지 또는 국공유지를 임대한 가좌에 지어졌다. 또한 가옥의 90%는 방 한칸 또는 두칸에 부엌이 딸린 집이었으므로 지역의 가옥규모는 2.75칸에 불과하였다. 다시 말하면 100년전 경상남도의 가옥규모는 조선시대의 이상 가옥형인 삼간초옥에도 못미쳤던 것이다. 이러한 열악한 주거조건 때문에 1인당 점유공간이 2-4평방미터에 불과하며 결과적으로 수용가능한 가족의 수도 4인 내외로 한정되었다.
Household Register of South Kyongsang Province compil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1904 keeps complete details on local houses of eleven out of a total of thirty-one counties in the district. This study examines, band on e analysis of the primary source materials, e specifics of traditional housing of South Kyongsang Provi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agnitude of housing lots, size of dwellings, land and house ownership, and distribution of thatch and tile roof houses by dong, myon and county. Findings from the survey of the household register suggest that approximately 20 percent of households were established on the private or rented public lands, that 90 percent resided in undersized housing with just one or two rooms besides a kitchen, and that the regional average of dwelling size was no bigger than 2.75 rooms. The fact clarifies that the three-room thatch houses prevailed in South Kyongsang Province about a century ago. The miserable living conditions were tranalated into a constricted personal space of 2 to 4 square meters and a small-size household of less than 4 family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