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ization of Drying and Storage System for Paddy Using the Grain Cooler

곡물냉각기를 이용한 벼 건조 및 저장시스템의 최적화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ptimization model using Box's Complex Algorithm, and to determin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to minimize costs for the drying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grain cooler. To minimize the system operation cost, the optimum moisture contents after the first drying were found to be from 17.2 to 19.8 %. And optimum drying and cooling capacities were obtained. The combination of the dryer and grain cooler was found to be economical, showing enhancement of the drying capacity over 50%, and decrease of drying cost over 10%. When the circulating grain dryers of 6 and 20 ton/batch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grain cooler, the cost required for drying and storage system for paddy were 28,464∼33,317won/ton and 20,588∼26,511 won/ton, respectively, which was from 2.6 to 27.3%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drying and storage system.

곡물냉각기를 이용한 벼 건조 및 저장시스템의 최적 운영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Box의 complex algorithm을 기초로 한 최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최적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입물량에 따른 시스템의 소요비용이 최소화되는 최적 1차 건조 후 함수율과 건조 및 냉각기의 최적소요 대수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벼의 건조비용은 최종함수율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톤당 건조비용은 6 톤 건조기에 비해 20 톤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낮게 나타났으며, 수확기간 중 총반입물량이 3,000톤 이하인 시설에 필요한 곡물냉각기는 1대였으며, 그 이상의 반입물량을 갖는 시설에서는 곡물냉각기가 추가로 필요하였다. 곡물냉각기를 이용할 때 총반입물량에 따라 건조기에서 1 차 건조 후 최적 함수율은 약 17.2∼19.8%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기 및 냉각기의 최적 소요대수를 제시하였다. 곡물냉각기를 이용함으로써 건조능력을 50%이상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조비용을 10%이상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냉각기를 이용한 벼 건조 및 저장시스템에 소요되는 톤당 최소비용은 6 톤 및 20톤 건조기를 사용할 경우 각각 28,464∼33,317 원 및 20,588∼26,511 원으로 관행적인 방법에 비해 2.6∼27.3%의 비용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Saul, R. A. and E. F. Lind (1958) Maximum time for safe drying of grain with unheated air. Transactions of the ASAE, 2, 29-33
  2. ASHRAE (1991) ASHRAE Handbook of 1991 Fundamentals. ASHRAE, Atlanta, Georgia., P22.9
  3. Sauer, D. B. (1992) Storage of Cereal Grains and Their Product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p.46-48
  4. Hellemar, J. (1993) The big chill : a grain handling alternative. Proceed. GEAPS Exchange '93. GEAPS, Minneapolis, MN., 63-74
  5. Chek, T. I. (1989) Application of paddy cooling technique in Malaysia rice industry. Workshop on grain drying and bulk handling and storage systems in ASEAN, Pitsanuloke, Thailand, 17-29 October
  6. RPC 엔지니어링 협의회 (2000) RPC 단위기계 가격 검토 자료
  7. 고학균, 금동혁, 김동철, 김용현, 박경규, 박호석, 장동일, 정종훈, 한충수 (1997) 농협미곡종합처리장 설계기준. 농엽중앙회 미곡종합처리장 자문단, p.1-143
  8. 금동혁, 이규승, 최창현 (1993) 고온고속 곡물건조기 개발에 관한 연구. 산학협동재단 보고서, 성균관대학교, p.1-25
  9. D.C. Kim, O.W. Kim, D.H. Keum and Han, J.K. (2004) Development of a new commercial grain cooler.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In printing)
  10. D.C. Kim, O.W. Kim and Keum, D.H. (1999) Cooling simulation for fixed-bed of rough rice. J. of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24, 31-40
  11. 장태현, 김민남, 김상윤 (1993) 냉동 및 공기조화. 보성각, p.235-237
  12. 금동혁, 한충수, 박춘우 (1998) 시뮬레이션에 의한 누적혼합 상온통풍건조의 송풍기 및 가열기의 운영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3, 229-244
  13. 김명황, 유남식, 안기록, 이계임 (1992) 미곡종합처리장의 경제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257
  14. Arora, J. S (1994) Introduction to Optimization Design. McGraw-Hill, Singapore
  15. 권태완, 신명곤, 김동철, 박재복, 민봉기, 주용기 (1990) 미곡종합처리 가공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보고서, E-2062-0084, p.9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