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Seasoning Oil for Replacing Red Pepper Seed Oil : Manufacturing of Red Pepper Seasoning Oil

고추씨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 제2보. 고추향미유의 제조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o develop the red pepper seasoning oil(RPSO), corn oil was used as the base oil. For generating hot taste and color, oleoresin capsicum and oleoresin paprika were mixed to base oil (SSO1). Then, for generating black red color, natural black pigment that is extracted from gardenia and kaoliang was added SSO1 to prepare SSO2. To magnify the hot taste, extract of red pepper, phosphoric salt and emulsifier (monogly 20) were. then added to SSO2 to prepare SSO3. This SSO3 was very similar to real red pepper seed oil as a color and taste, but its hot flavor was not enough. To resolve this problem, we mixed about 5% of another oil(SSO4), which was mingled and roasted red pepper powder with corn oil, to SSO3. In terms of above experiment, RPSO was obtained.

고추씨기름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는데 비하여 국내에서 고추씨의 수급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고추향미유(red pepper seasoning oil, RPSO)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 동안 몇 군데 업체에서 이와 유사한 향미유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이는 단순하게 매운맛만 부여했을 뿐 향이 전혀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옥수수기름을 원료유로 하여 여기에 Oleoresin Capsicum과 Oleoresin Paprika를 첨가하여 기본적으로 매운맛과 고추 고유의 붉은 색상을 부여하였다(simulated seasoning oil, SSO1). 그러나 검붉은 고추 고유의 색상을 얻기 어려워 치자, 고량 등의 천연물로부터 주정추출법을 이용하여 색소를 추출한 후 유화 처리하여 별도로 제조한 검정색 천연색소를 첨가하였다(SSO2). 또한, 통고추가루와 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소량의 인산염을 처리한 후 열수추출 과정을 거쳐 얻어진 고추추출물을 monogly로 유화시켜 SSO2에 혼합함으로써 고유의 매운 맛을 강화하였다(SSO3).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향미유의 매운 맛과 색상은 고추씨기름과 유사하였으나 매운 향의 부여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고추 가루와 고추씨를 동시에 이용하여 직화를 통한 roasting을 하고 여기에 옥수수기름 일부를 가하여 용출을 시도하였다(고추씨기름 원액, SSO4). 여기서 얻어진 고추씨기름 원액(SSO4)을 전체의 5%(w/w) 범위로 SSO3와 혼합하여 최종 RPSO를 제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현영희, 구본순, 송주은, 김덕숙 (2000) 식품재료학. 형설출판사 p.128-129
  2. 한명규 (1997) 건강하게 오래 삽시다. 청목출판사. p.108-109
  3. 최춘언, 한영숙 (2002) 고추, 매운맛의 과학. (주)식품저널 p.35
  4. Huffman, V.L., Schalde, E.R., Villalon, B. and Burns, E. (1978) Volatile components and plUlgency in fresh and processed Jalapenopeppers. J. Food Sci., 43, 1809-1813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8.tb07419.x
  5. 한국식품정보원 (2001,10,30) 붉은 고추 간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www.foodi.com
  6. 한국식품정보원 (2001,11,6)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 항암효과 탁월. www.foodi.com
  7. 조재선 (2001) 김치가 유명해진 이유는 '매운 고추' 덕분. 식품저널. p.78-80
  8. 김동연, 이종욱 (1980) 건조 고추 저장중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12, 53-58
  9. 장규섭, 김재욱 (1976) 유연포장재료를 이용한 고추 포장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19, 145-150
  10. 김동연, 이종욱, 신수철 (1982) 고추의 건조 및 분쇄 방법에 따른 변색. 한국농화학회지, 25, 1-7
  11. 허준무, 고태송 (1998) 사료내 고추씨가 채란계 생산성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5, 21-25
  12. 채영석, 이성기, 김희주, 홍춘기 (1996) 요구르트와 고추씨기름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16, 229-234
  13. 주현규 (1996) 쑥추출물과 고추씨기름을 첨가하여 이취가 없는 청국장의 제조 방법. 특허공보 제 4755호, 1
  14. 이형재, 강우석, 김정한 (1997) 고추씨기름을 원료로 하는 수용성 풍미유 및 이의 제조 방법. 특허공보 제 5208호, 25
  15. Kim, J.C. and Rhee, J.S.(l980) Studies 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red pepper seed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126-132
  16. 이강자, 한재숙, 이성우, 박춘란 (1975) 고추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1보. 고추 종자의 중성지질. 한국식품과학회지, 7, 91-95
  17. 함태식 (1980) 고추, 산초 및 복숭아 종자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최영진 (1998) 고추씨기름의 지용성 성분 및 가열저장에 따른 이화학적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최영진, 고영수(1990) 고추씨기름의 저장 및 가열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한국조리과학회지, 6, 67-75
  20. 이춘녕,박성오(1963) 고추 중의 capsaicin 정량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4, 23-29
  21. 이성우 (1971) 신미종 고추의추숙에 관한 생리화학적 연구.제2보. 신미성분의 변화. 한국농화학회지, 14, 29-34
  22. 이정혜, 최언호, 김형수, 이서래 (1977) 고추가루의 저장성과 방사선 처리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9, 199-204
  23. 최춘언, 김영배, 이서래 (1997) 고추가루중 미생물의 분리 및 방사선 감수성. 한국식품과학회지, 9, 205-210
  24. 구본순, 김덕숙 (2003) 고추씨 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서일대학 학술연구보고서
  25. 한미영, 고순남, 김우정(1999) 고추씨 향신조미료 제조를 위한 추출 조건. 한국조리과학회지, 15, 370-376
  26.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1987) Official Method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AOCS, 4th. ed
  27. 이근보, 양종범, 고명수 (2002) 식품분석, 유한문화사, p.277
  28. Bang, H.O. and Dyerberg, J.(1980) Plasma lipids and ischemic heart disease in Greenland Eskimos. R. Adv. Nutr., 3, 1-9
  29. Kinsella, J.E.(1986) Dietary fish oils possible effec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reduction of thrombosis and heart disease. Nutrition Today, 6, 7-14
  30. Lorenz, J.P., Doormen, V. and Orlebeke, K.F.(l982) Stress, personality and serum cholesterol level. J. Human Stress, 8, 24-36
  31. Phillips, N.R., Havel, R.J. and Kane, J.P.(1981) Levels and interrelationshipsof serum and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Association with adiposity and conswnption of ethanol, tobacco and beverage containing caffeine. Arteri., 1, 13-24 https://doi.org/10.1161/01.ATV.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