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cal Relationship Between Stream Sediments and Regional Geology of the Upstream for the Hahn River Drainage Basin, Korea.

한강상류 하상퇴적물과 인근유역육상지질과의 지화학적 상관관계

  • 이연희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기초지반팀) ;
  • 지정만 (인하대학교 지구환경공학) ;
  • 오재경 (인하대학교 생물해양학부)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stream sediments and regional geology on upstream of Hahn river area. Geochemical characteristic including for major elements, trace elements and rare earth elements of the South and North Hahn river bed sediments are similar to those of acid igneous rocks which are distributed around both Hahn river basin. The chemical variation of major elements against SiO$_2$ and trace elements contents between South and North Hahn river bed sediments doesn't show the difference. REE patterns of both area show a distinct negative Eu anomaly, but total contents of rare earth elements are higher in North Hahn river sediments than South Hahn river sediments. The heavy minerals in the river bed sediments in this study area are identified as tremolite-actinolite, hematiteㆍmagnetite, common hornblende, ilmenite, garnet, epidote, rutile and sphene. In conclusion, it is elucidated that South and North Hahn river bed sediments are being originated from igneous rocks or metamorphic rocks which contains medium-high grade metamorphic minerals and components of originated from sedimentary rocks those of politic or calcareous rocks are eroded away as solution or suspended load.

하상퇴적물은 기반암의 풍화에 의해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 상류인 남한강유역과 북한강 유역의 하상 퇴적물을 대상으로 지화학적 분석자료를 통해 인근육상암석과의 상관관계와 근원암에 관하여 유추하였다. 지화학적 분석을 통해 연구지역 하상퇴적물들의 주성분원소, 미량성분원소, 회토류원소 등의 분석자룔르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지역 주성분 원소들의 분산 경향성은 남한강 하상퇴적물의 경우 산성 화성암의 일반적인 경향은 나타내었고, 북한강 하상퇴적물 역시 산성 화성암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두 지역의 주성분 원소 분산 경향성은 서로 유사한 분산경향을 나타냈으며, 미량 성분 원소의 함량치 역시 두 지역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희토류원소의 REE pattern은 두 지역 모두 Eu에서의 부의 이상이 뚜렷하게 나타내며 산성 화성암 기원의 희토류원소 pattern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희토류원소의 함량에 있어서는 남한강 하상퇴적물에 비해 북한강 하상퇴적물의 함량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중광물은 남한강 하상퇴적물의 경우 주로 투각섬석-양기석, 적철석, 석류석 군, 녹염석, 금홍석, 스핀 등이 관찰된다. 이는 두 지역의 인근 유역 육상지질이 대체로 변성암류와 화성암류가 주를 이루는 점과 조화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인 남한강과 북한강의 하상퇴적물은 대부분 화성암 기원 또는 변성암 기원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퇴적암 기원의 성분은 거의 전부 뜬짐 또는 녹음짐으로 제거된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광산지질 v.25 남한의 일부 중생대 화강암류의 지구화학적 연구 김규한
  2. 한국지질도 충주도폭 설명서 김기완;이홍규
  3. 한국지질도 가평도폭 설명서 김옥준(등)
  4. 한국지질도 청평도폭 설명서 김정환(등)
  5. 한국지질도 목계도폭 설명서 박봉순;여상철
  6.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남한강 중·상류 분지의 지형연구 박희두
  7. 대한 지하수환경학회지 v.4 한강수계 분지 내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서혜영;김규한
  8. 한국지질도 이포도폭 지질보고서 소칠섭(등)
  9. 한국지질도 여주도폭 설명서 여상철;이인기
  10. 광산지질 v.7 한강유역의 현생퇴적물에 관한 연구 소칠섭;이기형
  11. 한국지질도 양평도폭 설명서 원종관 (등)
  12. 한국지질도 춘천도폭 설명서 이대성(등)
  13.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남한강의 하안단구에 관한 연구 임창주
  14. 한국지질도 문막도폭 지질보고서 지정만 (등)
  15. 한국지질도 양수리도폭 설명서 홍승호(등)
  16. Jour. Sed. Petrology v.51 Quartz in mudrocks as an indicator of distance from shoreline Blaine Formation (Permian) western Oklahoma Blatt(et al.)
  17.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Henderson,P.
  18. Jour. Geol. Soc. Korea v.30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water depending on the bed rock types in the surface water depending on the bed rock types in the Chuncheon area Jae-Young Yu(et al.)
  19. Econ. Environ. Geol. v.31 A geochemical study of the alkali granite in the Kyeomyeongsan Formation Jin-Seop Kim(et al.)
  20. Geochim. Cosmochim. Acta v.44 Determination of REE, Ba, Fe, Mg. Na and K in carbonaceous and ordinary chondrites Nakamura,N.
  21. Jour. Geol. Soc. Korea v.26 A study on Jurassic granitic rocks in the Inje-Hongcheon district South Korea Yong-Joo Jwa;Jacques Mou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