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성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Rocks Affected by Periodical Submerging

  • 이석훈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김수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나노환경연구부)
  • 발행 : 2004.03.01

초록

울산시 사연댐 상류에 위치하여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징을 연구하였다. 현장조사, 전자현미분석기, Χ-선 회절분석기 및 Χ-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암석의 풍화조직 및 광물의 조성변화 조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암석의 기계적 및 화학적 풍화양상을 연구하였다. 수장암석의 풍화작용은 퇴적층리와 수직방향으로 발달한 파쇄대 및 균열과 박리현상과 같은 기계적 풍화작용이 현저하다. 이러한 물리적인 풍화현상은 물과 암석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화학적 풍화작용을 가속화시킨 결과 풍화대와 약풍화대에서 석영을 제외한 거의 모든 광물이 용해작용 또는 변질작용을 받았으며, 특히, 탄산염광물의 용해작용이 현저하여 약풍화대에서 조차 방해석이 완전히 용해되어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점토광물과 같은 이차광물의 형성은 미약한 특징을 보인다. 이 지역의 암석은 일정기간 동안 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동결과 해빙이 반복됨으로써 물리적 풍화작용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어 물의 침투가 용이한 투수성 구조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탄산염광물의 용해작용이 급속하게 일어났다. 자유로운 물의 순환으로 인하여 용해된 원소들이 점토광물과 같은 풍화광물로 침전되지 않고 용탈됨으로써 암석조직이 이완되어 풍화작용이 가속되었다. 퇴적암중 풍화에 극히 약한 탄산염광물의 높은 함량이 강한 화학적 풍화작용의 주 요인으로 보인다.

The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ly submerged sedimentary rocks in the Sayeon dam, Ulsan was examined by field work,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X-ray diffraction, and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Analysis of fracture zone and exfoliation showed the submerged sedimentary rocks have undergone severe mechanical weathering. Mechanical weathering in the water-rock interface accelerated chemical weathering, such as dissolution and alteration of the most of minerals except for quartz in the weathering zone. The dissolution of carbonates specially calcite, is remarkable creating the cavities, whereas formation of minerals including clay minerals is not active. The sedimentary rocks have been periodically submerg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have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This mechanical weathering favored infiltration, which accelerated mineral dissolution. The high content of easily soluble carbonate of the sedimentary rocks is likely the major cause of intense chemical weathering. The dissolved elements within the infiltrated water interrupted the occurrence of clay and weathering minerals, and expend fractures by infiltrated water accelerated weathering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진, 민경희, 최병렬, 김진홍, 이석훈, 장석환, 도진영 (2003) 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 연구. 울산광역시, p275
  2. 이석훈, 김수진 (2000)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조성의 변화. 한국광물학회지, 13, 121-137.
  3. 이석훈, 김수진 (2001)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따른 원소의 거동. 한국광물학회지, 14, 39-51.
  4. 이윤종, 이인기 (1972) 울산도폭 지질조사보고서 (1:50,000) 한국동력자원연구소.
  5. Drever, J.I. (1988)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2nd Ed. Prentice Hall Inc. U.S.A., pp437.
  6. Eswaran, H. and Bin, W.c. (1978) A study of a deep weathering profile on granite in peninsula Malaysia: III. alteration of feldspar. Soil Sci. Soc. Am. J., 42, 154-158.
  7. Harris W.G., Zelazny, L.W., Barker, J.C. and Martens, D.C. (1985) Biotite kaolinization in Verginia Piedmont soils: I. Extent, profile trends, and grain morphological effect. Soil Sci. Soc. Am. J., 49, 1290-1297.
  8. Jeong, G.Y. and Kim, S.J. (1993) Boxwork fabric of halloysite-rich kaolin formed by wethering of anorthosite in the Sancheongarea, Korea, Clays Clay Miner. 41, 56-65.
  9. Nesbitt, H.W. and Young, G.M. (1982)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ature, 299, 715-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