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nsfiguration Process and the Symbols of Theatrical Costume of Sandai Masque During the Choson Dynasty

조선시대 산대놀이 복식의 변모과정과 의복상징에 관한 연구

  • 이일지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ribe the transfiguration process and the symbols of theatrical costume of Sandai masque(산대놀이) during the Choson Dynasty. Sandai masque as a popular play is a very important form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theatre. Furthermore in order to analyze the mutual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in the early and later Chosen Dynasty, Narye has is stressed deeply a national amusement event. In the early years of Choson Dynasty, non-official culture such as outside of Seoul and Seoul were subject to the official culture of the Court. In the late years, actors become more and more libral, separating themselves from the systemical restriction.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e growth of capitals in private sectors as well as the growth in demand for entertainment among private citizens. On these backgrounds, the transfiguration process of Sandai masque have changed the treatrical costume. The treatrical costume carries symbolic meaning to the obserber. The value of symbol changes as the time passes, overtime thereby altering its meaning as well. The caracters and plots change inevitably over years but the basic theme remains. The symbols of theatrical costume of Sandai masque are mainly focused on three subjects: first, the entrance of a dragon and tiger originated in the exorcism for good harvest; second, color symbolism expressed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red and black; and third, associate characteristics of dress forms related to regoinal classification of the mask dance.

Keywords

References

  1. 고복남 (1973) 우리나라 민속무의 복식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
  2. 장영수 (1983). 악학궤범에 나타난 악인복식의 근원적 연구. 한양대
  3. 장사훈 (1985). 악복과 무복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
  4. 최선미 (1992) 조선조 궁중정재복식 연구. 이대
  5. 박진아 (1996). 처용무 복식의 연구, 인하대 외 다수
  6. 박영주 (1978) 한국무속복식 연구, 이대
  7. 백영자, 유효순 (1986). 무당내력을 중심으로 한 한국복식연구
  8. 박정애 (1990). 무속의 색과 문앙에 관한 연구. 숙대
  9. 유효순 (1994) . 한국무속 의례목식연구. 숙대 외 다수
  10. 정은자 (1975). 한국가면극 의상에 관한 연구, 홍대
  11. 권광희 (1986). 하회별신굿 탈놀이의 복식. 성균관대
  12. 이은주 (1998). 하회탈춤의 분장과 복식. 안동대 논문집
  13. 서연호 (1987). 산대탈놀이. 열화당. pp. 113-126
  14. 숙종실록. 46권 20장
  15. 권태무. 조선민간극. p. 39
  16. 김일출 (1998). 조선민속탈놀이연구. 한국문화사. p. 84
  17. 양재현. 산대희에 취하여 pp. 29-34
  18. 조원경. 의례와 가면무극. pp. 69-81
  19. 양재현. 산대희에 취하여. p. 30
  20. 조원경. 의례와 가면무극. pp. 77-78
  21. 柳得恭, 京都雜誌, 聲伎
  22. 李翼, 星湖塞設 5권 下 技藝門, 채복조
  23. 丁若鍵. 茶山硏究會 譯註. 譯註(1979) 收民心書,V. 창작과 비평사. pp. 113-114
  24. 정현석, 교방가요. 38장
  25. 구당서, 卷29. 志第9. 音樂志 2
  26. 삼국사기, 卷 第32. 雜志 第1 樂條
  27. 김일출, 조선탈놀이 p.57
  28. 周禮, 卷31. 夏官 司馬下. 方相氏
  29. 論語, 鄕黨篇
  30. 용재총화 1 권, 대동야승. pp. 22-24
  31. 선조실록. 180권. 33장
  32. 조선 연극사
  33. 세종실록. 24권.28장. 1 권.27-28장
  34. 성종실록. 174권 . 23-24장
  35. 광해군일기. 95권. 4장
  36. 중종실록. 89권. 48장
  37. 성종실록. 235권. 19장
  38. 노산군일기. 11권 . 38-40장
  39. 李杜鉉 (1985). 韓國의 假面劇. 一志社
  40. 世宗實錄, 卷42. 世宗8년 4 月條
  41. 姜彛天, 중암고, 남성관희자와 鄭顯奭의 敎坊歌謠
  42. 皇城신문 1899. 4. 3., 1900. 3. 3., 1900. 8. 9.
  43. 韓國日報. 1958. 8. 12
  4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상남도편) (1972) 서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p. 799- 803 요약
  45. James Frazer (1964). The new golden bough, abridged by T. Gaster. New Yarkpp. pp. 322-326에 서광범위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46. 조동일. 가면극의 미학 가면극과 민중의식의 성장. 서울대 출판부. p. 28
  47. 김재철 (1981). 조선연극사. 민속원
  48. 의례. 사관례 권 3-11
  49. 樂章歌詞. 處容歌에서
  50. 단국대학교 부속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개화이후-해방전후. 현암사
  51. 한국잃보. 1958년 8월 12일. 17일. 27일
  52. 윤광봉 (1994). 18세기 한앙을 중심으로 한 산대놀이의 양상, 한국고전문학 연구회편. 한샘출판사. p. 144
  53. A. 하우저 (1990).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근세편 下. 창작과 비평사. pp. 10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