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옥수수 Silage 및 조사료 급여 체계가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n Silage and Roughages Feeding Systems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s

  • 발행 : 2004.03.01

초록

본 실험은 사료급여 종류가 동절기 우유의 생산량 및 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8년 10월 부터 1999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구 처리는 볏짚구(볏짚 위주 조사료+농후사료: T1)를 대조구로 하여 옥수수 사일리지구(옥수수 사일리지 위주 + 농후사료:T2) 및 TMR구(완전혼합사료: T3)를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유 생산량은 T2(31.9$\pm$3.2kg) > T3(29.6$\pm$3.8kg) > T1구(22.5$\pm$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그리고 산차별 우유 생산량은 T2 및 T3구는 3산에서(P<0.01), T1구는 4산에서 높은 유량을 나타냈다. 2. 유지율은 T3구가 3.79$\pm$0.31%로 가장 높았던 반면 T1구는 2.64$\pm$0.20%(P<0.0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산차별로는 2 산차가 높은 경향치를 보였다. 3. 단백질 함량은 사료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T1구(3.17%$\pm$3.56%)에 비하여 T2(3.25$\pm$0.05%) 및 T3구(3.29$\pm$0.10%)가 높은 경향을 나타났으며(P<0.05), 산차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무지고형분 함량은 T3(8.74$\pm$0.18%)>T2(8.47$\pm$0.22%)>T1구(8.56$\pm$0.04%)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고형분 함량은 T3(12.51$\pm$0.57%)>T1(11.71$\pm$0.62%) > T2구(11.52$\pm$0.55%)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간 유의차는 없었다. 5. 체세포 수는 T1구가 39.6$\pm$4.6${\times}$$10^4$Cell/ml 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던 반면 T2구는 28.7$\pm$4.4 ${\times}$ $10^4$ Cell/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볏짚구(T1)에 비하여 TMR(T3) 및 옥수수 사일리지(T3) 급여체계는 유량 증대 및 우유성분 함량을 높이는 데 매우 효율적인 방안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rn silage and roughage feeding systems on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llotted into 3 treatments according to the feeding systems of rice straw(rice straw+concentrate: T1), corn silage(corn silage + concentrate: T2) and TMR treatment(Total mixed rate : roughage + concentrate: T3).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Oct. 1988 to Mar. 1999 at Kimcheon Kyungbook.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ilk yield increased upon T2(31.9$\pm$3.2kg) > T3(29.6$\pm$3.8kg) > T1 treatment(22.5$\pm$2.0kg)(P<0.05), but cows with T2 and T3 produced the highest at third parity while T1 at forth parity. 2. The milk fat percentage was the highest at T3 treatment(3.79$\pm$0.31%), and on the other hand T1 treatment appeared the lowest percentage. Cow at 2nd parity produced the highest milk fat contend over the other parity.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in content between treatments and parity, but T2 and T3 were higher than T1 4. Treatment did not affact content of SNF even though T2 and T3 of the SNF revealed to higher than T1. T5 was T3(12.51$\pm$0.57%)>T1(11.71$\pm$0.62%)>T2 treatment(11.52$\pm$0.55%). These were not significant. 5. Somatic cell counts were the highest at T1(39.6 ${\times}$ $10^4$cell/ml), but T2 treatment was the lowest as 28.7 ${\times}$ $10^4$ cell/ml.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com silage(T2) and TMR treatment(T3) could be recommended

키워드

참고문헌

  1. Cervinka, V., B.W. Rolf, L.H. Lockhart and T.J. Gibson. 1976. Mathematical model describing the relationship of fat, protein and lactose to the total solids. J. Milk Food technol. 39:845-847 https://doi.org/10.4315/0022-2747-39.12.845
  2. Chalupa, W.G., D. O'Dell, A.J. Kutches and R. Lavker. 1970. Supplemental com silage or baled hay for correction of milk fat depression produced by feeding pellets as the sole forage. J. Dairy Sci. 53:208
  3. Clark, J.H. and G.L. Davis. 1983. Future improvement of milk production : potential for nutritionnal improvement. J. Anim. Sci. 57:750
  4. Davis, C.L. and R.E. Brown. 1970. Metabolic disorders of the ruminant: Low fat milk syndrome. p.545-555
  5. Hargrove, G.L. and J.E. Legates. 1971. Biases in dairy sire evaluiton attributable to genetic trend and female selection. J. Dairy Sci. 54:1041-1051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71)85968-4
  6. Holter, J.B., W.E. Urban and H.A. Davis. 1977. Utilization of diet compenents fed blended of sepaarately to lactating cows. J. Dairy Sci. 60: 1288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77)84024-1
  7. Kauffinann, W., F.H. Ferris and L.A. Maynard. 1976. Influence of the composition of the ration and feeding frequency on pH regulation in the rumen and on feed intake in ruminants.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3:103 https://doi.org/10.1016/0301-6226(76)90028-2
  8. Nocek, J.E., R.L. Steele and D.G. Braund, 1985. Effect of mixed ration nutrient density on milk of cows transferred from high production group. J. Dairy Sci. 68:133-139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5)80806-7
  9. Park, K.K., W.C. Green and B.W. Rolf. 1982. a regression equation for estimating solids not fat from fat, protein and lactose of fluid milk. J. Milk Food Technol. 45:511-512
  10. Spahr, S.L. 1977. Optimum ration for crop feeding. J. Dairy Sci. 60:1337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77)84031-9
  11. Warwick, E.J. and Legates. 1979. Breeding and improvement of farm animals: 350-357
  12. Wood, P.D.P. 1978. Note on seasonal fluctuations in milk production. An : Pro 15-92
  13. 有材正利. 1982. 生乳成分率ぉょび流量の變動と乳脂率基準値.臺産の硏究.36(7):902-904
  14. 和田宏. 1977. 牛乳生産の技術と實際. 畜産の硏究. 31(3):431-436
  15. 강국희, 고준수, 김영주. 1991. 한국산 원유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13(1): 1-13
  16. 강봉태, 김기원. 1979. 우유 품질에 관한 연구. 진주농대논문집. 17:161-165
  17. 高俊株. 1970. 乳牛 飼育農家別原料乳 品質에 關한 硏究. 韓畜誌. 12:316-320
  18. 金榮敎, 金文鎭. 1972. 牛乳生産과 乳質 向上에 關한 硏究. 高大農林論叢. 13:129-140.
  19. 김창주. 1962. 낙농경영에 관한 연구. 한축지. 4:43-50
  20. 문점동. 김윤환, 김철욱. 1983. 홀스타인의 유량, 유지율 및 유지량에 대한 유전 및 환경효과와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축지. 17(4):438-444
  21. 뱅동호, 신정남, 고기환. 1993. 농후사료와 볏짚을 주사료로 하는 착유우에 섬유질 사료의 보충급여가 젖 생산량 및 유 조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낙농학회지. 15(1):21-28
  22. 尙炳贊, 趙潤新, 金浩重. 1986.Holstein 種 乳 牛의 乳量, 乳指量, 乳脂率 및 最低乳量에 미치는 遺傳 및 環境的 效果와 相關作用에 關한 硏究. 韓畜誌. 28(30):122
  23. 석윤오, 정근희, 김환향. 1984. 분만요인이 우유의 산유 형질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6(2):101-108
  24. 손봉환. 1991. 원유의 질과 유방염 관계. 한국유가공연구회지. 8:66-87
  25. 안승용, 김현욱. 1980. 한국의 유가공업, 한국의 우유제품의 발전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20
  26. 梁昇柱, 李賢鐘, 朴喜錫, 尹瑛斌1989. 濟州地域 Holstein 乳牛의 産乳能力과 牛乳의 品質에 關한 硏究. II. 淹次, 泌乳週期, 飼養管理 條件, 分換季節 및 窄乳 時期가 産乳童과 牛乳의 品質. 韓畜誌. 31(2):114-131
  27. 이종택, 박승용, 권일경, 김현욱. 한국산 납유원유의 품질에 관한 연구. 한축지. 5(1):22-28
  28. 이현종, 박희석, 양승주, 윤영무. 1988. 제주지역 Holstein 우유의 산유 능력과 원유의 품질에 관한 연구. 한축지. 30(12):739-746
  29. 유수암, 전우민, 이민석, 김세헌, 김영교. 1996. 유우의 사육관리수준이 원유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18(4):229-236
  30. 장영호, 김호수, 이교성, 김현욱, 1985. Holstein 생유의 성분에 관한 연구. 한축지. 7(4):194-200
  31. 장성종. 1983. 한국의 유가공 현황 및 전망. 성균관대 낙농학과. 46:25-54
  32. 정충일. 1998. 한국 낙농산업의 구조조정. 5. 원유와 유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실행방안. 한국낙농학회 심포지. pp 89-98
  33. 진신흠, 현덕현, 김동철, 이왕식, 강태흥. 1993. 완전혼합사료 급여에 의한 젖소 산유량 향상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15(3):159-164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Feeding System and NDF Level on Blood Metabolism of Growing Cows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