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구 온난화에 따른 물 수송 변화

The Change of Water Vapor Transport due to Global Warming

  • 발행 : 2004.02.01

초록

이 논문에서 우리는 대기 대순환 모형을 사용하여 지구 온난화에 따를 육지 대기로의 물 수송 변화를 평가했다. 해양으로부터 육지로의 물 수송 변화량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거의 연중 증가한다. 유라시아대륙의 물 수송량은 연중 170∼350${\times}$106 Mt/day 수준의 증가를 보인다. 아프리카로의 수송은 11월을 제외한 모든 달에 감소를 보이고 특히 8월과 9월에 -350${\times}$106 Mt/day의 최대 감소를 나타낸다.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를 제외한 다른 대륙들에의 수송은 $\pm$80${\times}$106 Mt/day 미만의 증가와 감소를 달에 따라 다르게, 그리고 불규칙하게 보인다. 지구온난화로 유라시아 대륙에로의 물 수송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지만, 이 대륙 안에 위치한 사막지역의 물 수송은 감소한다. 그러므로, 사막을 제외한 부분, 특히 몬순 지역에 증가 분이 집중될 것이고, 이러한 동아시아 몬순강화의 결과로 몬순지역에 상당한 가용수의 증가가 기대된다.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the water vapor transport change Into the continent due to the global warming effect with the general circulation models. Water vapor transport change from ocean to land increases through the year due to CO2 doubling effect. In Eurasia, it indicates an increase about 170∼350${\times}$06 Mt/day the whole year. In Africa, it shows an decrease every month except November, especially there is the maximum decrease about -350${\times}$106 Mt/day during August-September. In other continents, excluding Eurasia and Africa, the change of water vapor transport vary with the month below $\pm$8.0${\times}$106 Mt/day with the unsystematic patterns. In Eurasia, the change of water vapor transport increases as a whole, but it decrease in desert areas which occupy a high area-ratio. Therefore, except desert areas, the amount of the growth in water vapor transport change concentrate on Asian monsoon area. As a result of monsoon strengthening, available water will grow considerably at the asian monsoon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승, 심규철 (2003), '통합물관리를 위한 세계물활동-세계물활동 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6권, 제2호, pp.24-38
  2. 김정우 등 (1997), '대기/해양 접합 GCM 개발.', G7 프로젝트 제2단계 3차년도 보고서, 환경부/과학기술처, pp 1122-1125
  3. 박지업 (2000). 'YONU CGCM을 이용한 $CO_2$ 배증 시기 지구 온난화의 예측.',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45-147
  4. 안재현, 유철상, 윤용남 (2001a). 'GCM 결과를 이용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수문환경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335-345
  5. 안재현, 윤용남, 이재수 (2001b).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1. 국지규모 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기온의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347-356
  6. 안재현, 윤용남, 유철상 (2001c).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2. 물수지 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상류 유역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4권, 제5호, pp. 511-519
  7. 오재호, 홍성길 (1995). '대기중 $CO_2$ 증가에 따른 한반도 강수량 변화.'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8권, 제3호, pp. 143-157
  8.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a).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1. 연/월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2권, 제6호, pp.617-625
  9.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b).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2. 지구 온난화에 다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 추정.',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2권, 제6호, pp.627-636
  10. 이우성 (2000). 'CGCM을 이용한 ENSO 기작의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70-171
  11. 조민수, 김정우, 정일웅 (1998). '지구온난화에 따를 사막화의 수치 실험.', 한국 기상학회지, 제34권, 제1호, pp. 65-74
  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4).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I), 과학기술처
  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5).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 (II), 과학기술처
  14. Bhaskharan B. and Mitchell J.F.B., (1998), 'Simulated changes in the intensity and variability of the southeast Asian monsoon in the twenty first century resulting from anthropogenic emissions scenarios.' Int. J. Cimatol., vol. 18, pp. 1455-1462 https://doi.org/10.1002/(SICI)1097-0088(19981115)18:13<1455::AID-JOC331>3.0.CO;2-D
  15. Gates,W. L., J. Boyle, C. Covey, C. Dease, C. Doutriaux, R. Drach, M. Fiorino, P. Gleckler, J. Hnilo, S. Marlais, T. Phillips, G. Potter, B. Santer, K. Sperber, K. Taylor and D.Williams, 1998: An Overview of the Results of the Atmospheric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AMIP I).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rological Society, 73, pp. 1962-1970
  16.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J. T. Houghton et a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70-576
  17. Jager, J. and Ferguson, H. L. (1991). 'Climate Change : Science, Impacts and Policy', Proceeding of the Second World Climate Conference, Cambridge Inuversity Press, Cambridge
  18. Kim, J. W. (2002), 'Discourses on the Global Warming : Expansion of the Deserts, Change in Distribution of the Available Water, and Effects of the Atomosphere $CO_2$ Variability', KOMES invited lecture, Seoul, 10.14-25
  19. Kitoh, A., S.Yukimoto, A. Noda and T. Motoi, 1997, 'Simulated changes in the Asian summer monsoon at times of increased atmospheric $CO_2$.'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Vol. 75, pp. 1019-1031 https://doi.org/10.2151/jmsj1965.75.6_1019
  20. Phillips,T. J., 1996: Documentation of the AMIP models on the World Wide Web.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rological Society, 77, pp. 1191-1196 https://doi.org/10.1175/1520-0477(1996)077<1191:DOTAMO>2.0.CO;2
  21. Rind, D. (1993). 'Models see hard rain, drought if $CO_2$ doubles.' Climate Alert Newsletter, Vol. 6, No. 2
  22. Trenberth, K. E., J. M. Caron (2000), 'Estimates of meridional atomosphere a ocean heat transports.', J. Climate, Vol. 14, No. 16, pp. 3433-3443 https://doi.org/10.1175/1520-0442(2001)014<3433:EOMAAO>2.0.CO;2
  23. Zhang, Y.-C. and W. B. Rossow, (1997), 'Estimating meridional energy transports by the atmospheric and oceanic general circulations using boundary fluxes.' J. Climate, Vol. 10, pp. 2358-2373 https://doi.org/10.1175/1520-0442(1997)010<2358:EMETBT>2.0.CO;2
  24.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rological Society v.73 Overview of the Results of the Atmospheric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AMIP 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