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Gwangyang Bay

광양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

  • 장민철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 장풍국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 신경순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 박동원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 장만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imonthly from June 2001 to June 2003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Gwangyang Bay, Zooplankton were collected at 9 stations using a NORPAC net from surface layer. The zooplankton community consisted of 47 taxa and the mean abundance was 6,205 inds. $m^{-3}$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maximum abundance was observed to be 20,060 inds. $m^{-3}$ in June 2002 and the minimum in August 2001 with 630 inds. $m^{-3}$. Copepods were the predominant constituent, wihich comprised 4.6~84.1% (mean 38.2%) of th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Dominant species of copepods were Acartia omorii, Acartia erythraea, Centropages abdominalis, Paracalanus parvus. Paracalanus parvus dominated from June 2001 to December 2002. A red tide causative dinoflagellate, Noetiluca scintillans, dominated from June 2002 to February 2003, Acartia omorii and Centropages abdominalis dominated in winter and spring seasons. While, Acartia erythraea dominated in summer and fall seasons. In June and August, Cladocerans and Cirriped larvae dominated. The abundance of zooplankton according to the tidal cycle showed considerable fluctuations with a range of 2,768~15,856 inds. $m^{-3}$ $(\risingdotseq$ 5.7 times).

광양만에서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을 2001 6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격월로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조사해역의 9개 정점에서 망목 $3000\mu{g}$인 NORPAC 네트를 이용하여 수평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동물플랑크톤은 47종류가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량은 6,205 inds. $m^{-3}$이었다. 월별 출현량은 2002년 6월에 최대 26,060 inds. m$^{-3}$에서 2001년 8월에 최소 630 inds. $m^{-3}$사이에서 변동하였다. 요각류는 채집된 동물플랑크톤의 4.6~84.1% (평균 38.2%)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우점하는 요각류는 Puracalanus parvus, Centropages abdominalis, Acartia omorii, Acartia erythraea였다 적조를 유발하는 Noctiluca scintillans는 2002년 6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요각류 가운데 높은 출현량을 보인 Acartia omorii와 Centropages abdominalis는 수온이 낮은 겨울과 봄에, 그리고 Acartia erythraea는 수온이 높은 여름과 가을에만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그 외에 지각류와 만각류 유생은 6월과 8월에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조석주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범위는 2,768∼15,856 inds. $m^{-3}$로 시간에 따라 약 5.7배의 변동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n) Ecological Study on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Gwangyang Bay, Korea 김웅서
  2. 환경생물학회지 v.19 no.2 황해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조류(潮流)에 따른 요각류 개체수의 변화 김웅서;장민철
  3. 수진연구보고 v.6 한국 근해의 모악류에 관한 연구 박주석
  4. 한국수산학회지 v.25 no.4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희
  5. 한국해양학회지 v.24 no.4 연안역 동물플랑크톤 시료의 변이: 반복 채집 및 시간별 채집의 필요성 박철
  6. 환경생물학회지 v.11 no.1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 변동 서호영;서해립
  7. 한국해양학회지 v.26 no.3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염분 서해립;서호영;차성식
  8. 여수대 석사학위 논문 2000~2001 전남 광양만에서 후생동물 플랑크톤의 생태 및 진주담치유생의 섭식 송재윤
  9. 한국해양학회지 v.28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신현출;고철환
  10.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7 여수 근해산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양적 분포 심재형;노일
  11.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양만 주변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수괴지표종을 중심으로 윤성진
  12. 환경생물학회지 v.10 성게배아를 이용한 서남해역 저질오염의 생물학적 검정 위인선;이종빈;유수현
  13. Ocean Res. v.20 no.1 1996년 춘계 황해의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환경특성 장민철;김웅서
  14. 한국수산학회지 v.33 no.4 여름철 광양만 소형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과 종조성 차성식;박광재
  15. 한국해양학회지 v.8 no.1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최동림;현상민;이태희
  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12 no.30 컨테이너 부두건설에 따른 광양만의 유황변동 최성열;조원철;이원환
  17. 한국해양학회지 v.8 no.1 광양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공간분포양상 최진우;유옥환;이우진
  18. 한국해양학회지 v.26 no.3 황해 중 · 동부 연안 수역의 조석전선이 식물플랑크톤 생산력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최중기
  19. 한국수산학회지 v.28 no.4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한동훈;홍성윤;마채우
  20. Polar Biol. v.13 Short term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zooplankton in Admiralty Bay(Antarctica) Freire,A.S.;M.J.C.Coelho;S.L.C.Bonecker
  21. Ecology v.73 Playing chutes and ladders: heterogeneity and the relative roles of bottom-up and top-down forces in natural communities Hunter,M.D.;P.W.Price
  22. Recent Advances in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94 Distribution of chaetognath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relation to the water masses in fall Kim,W.S.;J.M.Yoo;C.S.Myung;E.K.Lee;Choat,O.H.(ed.);N.Saxena(ed.)
  23. Bull. Fish. Res. Dev. Agen. Korea v.9 Distribution of copepods in Chinhae Bay and its adjacent region Lee,S.S.
  24. Mar. Ecol. Prog. Ser. v.19 Hierarchical control of phytoplankton succession by physical factors Levasseur,M.;J.C.Therriault;L.Legendre https://doi.org/10.3354/meps019211
  25. Mar. Eco. Pro. Ser. v.73 Quantifying the contribution of small-scale trubulence to the encounter rates between larval fish and their zooplankton prey: effects of wind and tide MacKenzie,B.R.;W.C.Leggett
  26. General Systematics v.3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Margalef,R.
  27.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arsons,T.R.;Y.Maita;C.M.Lalli
  28. J. Theoret. Biol. v.13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Pielou,E.C.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9. Bull. Plankton Soc. Japan. Spec.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copepods affecting the recruitment of fish larvae.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pepoda Poulet,S.A.;R.Williams
  30. J. Plankton Res. v.10 no.3 The effects of turbulence on planktonic contact rates Rothschild,B.J.;T.R.Osborn https://doi.org/10.1093/plankt/10.3.465
  31. J. Fish. Res. Board Can. v.32 Tidal and diurnal effects of zooplankton sample variability in a nearshore marine environment Sameoto,D.D. https://doi.org/10.1139/f75-043
  32. Statisstical Ecology Diversity indices Sahnnon,C.E.;W.Weaver;Ludwig,J.A.;J.F.Reynolds
  33. J. Exp. Mar. Biol. Ecol. v.189 Seasonal variation abundane, size composition, biomass and production rate of Oikopleura dioica(Fol)(Tunicata: Appendicularia) in a temperate eutrophic inlet Uye,S.I.;S.Ichino https://doi.org/10.1016/0022-0981(95)00004-B
  34. J. Oceanol. Soc. Korea v.22 no.2 Seasonal Distribution of Marine Cladocerans in Chinhae Bay, Korea Yoo,K.I.;S.W.Kim
  35. Bull. Korean Fish. Soc. v.24 no.4 Taxonomical revision on the genus Acartia (Copepoda: Calanoida) in the Korean waters Yoo,K.I.;H.K.Hue;W.C.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