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uilding stones are used mainly as a material for making decoration and sculpture, and consequently they must have predominant physical properties extensively. Amo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the coefficient of pore dominates the usefulness of building stones, so the plans were made for establishing the quality classification of building stones with respect to the nature of pore. For this study, bore-hole core sample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iotite granites and the granitic gneiss were applicated. From the related chart between porosity and absorption ratio, Mungyeong granitic gneiss($Gn_1$) shows the widest phase of distribution in the range of measurement values, and the values decrease in the order of Pocheon granite($Gr_2$) and Mungyeong granite($Gr_1$) in the range. The strength of each rock mass varies with the degree of alteration. Also in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the range of measurement values decrease in the order of $Gn_1$, $Gr_2$and $Gr_1$. Porosity is adopted as a representative physical property for establishing the quality classification of building stones, and then relative evaluation was made with regard to various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related chart between porosity(n)-specific gravity(G), absorption ratio(Ab), compressive strength(${\sigma}_{c}$), tensile strength(${\sigma}_{t}$), shore hardness(Hs) and Young's modulus($E_{t}$), standard of each grade is established.
석재는 주로 장식용 및 조각용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우수한 물성도 골고루 지녀야 한다. 다양한 물성 중에서 공극계수가 석재의 유용성을 지배하므로 공극의 성질과 연관하여 석재의 품질구분 설정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화강암질암류 및 화강암질편마암의 심도별 시추코아 시료가 사용되었다. 공극률과 흡수율의 상관도에서 문경 화강암질편마암($Gn_1$)의 측정치 범위가 가장 넓은 분포상을 보이며, 포천화강암($Gr_2$), 문경화강암($Gr_1$)의 순으로 그 범위는 감소한다. 각 암체의 강도는 변질도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와의 상관성에서도 측정치의 범위는 $Gn_1$, $Gr_2$ 그리고 $Gr_1$의 순으로 감소한다. 석재의 품질구분 설정에 있어 공극률이 대표적인 물성으로 채택되어 여러 물성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공극률(n)-비중(G), 흡수율(Ab), 압축강도(${\sigma}_c$), 인장강도(${\sigma}_t$), 쇼아경도(Hs) 그리고 탄성계수($E_{t}$)와의 상관도에서 각 등급별 기준이 설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