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Kimchi Homogenate

김치 첨가 햄버거빵의 품질 특성

  • 김정숙 (계명문화대학 식품과학과)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Kimchi homogenate product(KHP) on doug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bread. Breads were prepared by the addition of 0, 7, 14 and 21% of KHP to the basic formulation. The pH of dough with KHP were ranged from 5.19 to 5.30 and pH of the control was 5.58. Loaf volume index of the bread prepared by adding 7∼21% KHP increased by 5.4∼17.2%. Color L value of the bread crust and crumb with KHP decreased, color a value of the bread crumb with KHP increased, and b value of the crumb with KHP decreased. The hardnes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KHP, but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KHP. Sensory quality of the Kimchi hamburger bread estimated by shape, flavor and overall qualit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bread. Especially, the Kimchi hamburger bread quality with addition of 14% KHP was the best.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가 젖산균 함량이 높고 락트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와 수소 등의 가스를 생성하는 다양한 젖산균류가 살아있는 특성을 활용해서 김치와 빵을 배합하여 햄버거용 김치빵을 제조한 후 그 물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능성 제빵 제품으로서 상용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죽의 pH는 5.58이었으나 7% 첨가구의 경우는 5.30, 14% 첨가구는 5.24, 21% 첨가구는 5.19로서 김치 첨가율이 높을수록 pH는 낮아졌으며 산도는 pH와는 반대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굽기 손실율은 대조구에 비해 김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10.90%, 8.73%, 6.55%, 5.4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oaf volume index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한 빵이 대조구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7% 첨가시는 5.4%, 14% 첨가시는 10.8%, 21% 첨가시는 17.2% 증대되어 김치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빵의 부피가 뚜렷하게 증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빵의 hardness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 낮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7% 첨가구는 대조구 경도의 80.6%, 14% 첨가구는 56.9%, 21% 첨가구는 51.3%를 나타내었다. 빵의 cohesiveness는 김치 파쇄물의 첨가율이 7∼l4%일 경우는 증가한 반면 21% 첨가구의 경우에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빵의 springiness도 cohesiveness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gumminess는 첨가율의 증대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며 brittleness도 비슷한 감소결과로 나타났다. 김치빵의 외관은 김치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14∼21% 첨가구가 높았다. Crust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내부조직의 색상은 14∼21% 첨가구가 기호도가 높았다. 맛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 순이었으며 조직감은 21>14>7>0%의 기호도를, 향미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첨가구의 순으로 맛에 대한 기호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14>21>7>0%순으로 14%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여러 결과에서 김치 파쇄물을 14%첨가한 구에서 물성 및 관능적 품질특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orean J Food Nutr v.13 no.3 A study of dietary intake and biochemical status of obese children in anyang Lee,H.O.
  2.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5 no.2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Choi,H.S.
  3. J Korean Soc Food Sci Nutr v.24 no.1 The nutrition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Park,K.Y.
  4. 食品機能化學 中村良
  5. J Dairy and Food Sci v.3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ellu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Kanabe,M.
  6. Korean Soc Public Health Symposium The anti-neoplasm effects of Lactobacilli Shahani,K.M.
  7.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10 no.3 Studies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kimchi bread Park,I.K.;Kim,M.K.;Kim,S.D.
  8. J Korean Soc Food Sci Nutr v.17 no.3 Effect of various ingredients of kimchi on the kimchi fermentation Lee,S.H.;Kim,S.D.
  9. 신 제빵제과학 오승희
  1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O.A.C
  11. J Home Econom v.61 Objective measure for baked products Funk,K.;Zabik,M.E.;Elgedaily,D.A.
  12. Sensory evaluation practices(2nd ed.) Herbert,A.;Juel,L.S.
  13. SAS/STAT User's Guide(Version 6.03) SAS institute, Inc.
  14. J Korean Soc Food Sci Nutr v.17 no.3 Changes in pectic substance of lower salted kimchi with pH adjuster during fermentation Kim,S.D.;Lee,S.H.
  15. 제과제빵사 시험 민경찬
  16. J Korean Soc Food Sci Nutr v.28 no.6 Effects of flour brew with Bifidobacterium as a natural bread improver Cho,N.J.
  17. Prog Food Nutr Sci v.5 Antioxidative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Linger,H.;Erikson,C.E.
  18. 제과제빵학 개론 이형우
  19. Korean J Food Sci Technol v.14 no.4 Studies of loaf volume of naked barley bread and mixed naked barley-wheat bread prepared by lactic acid method Rhee,C.;Bae,S.H.;Yang,H.C.
  20. Korean J Food Preservation v.7 no.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Kim,J.H.;Choi,M.S.;Moon,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