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Lifestyle and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upon Fashion Store Selection of Adolescence Consumers

청년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점포속성 중요도가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형점포를 중심으로-

  • 이은실 (진주국제대학교 미용패션학부) ;
  • 이선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contents of lifestyle of adolescence consumer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ifestyl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preference of fashion stor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o test preference of fashion store and lifestyle, preference of fashion store, and to examine how the preference of fashion store was influenced by lifestyl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and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were 317 adolescence consumers(13-24 years) in Seoul, Korea. Preference of imported & brand goods,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and family orient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department store($R^2$=.129). Sex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department store through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and age(-)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entertainment shopping center($R^2$=.150).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sales promotion, sex, and reasonable consumption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discount store(R =$^2$.109). Sex(-) had an indirect discount store through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and sex(-),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age(-), and reasonable consumption did through sales promotion. Sales promotion, preference of imported & brand goods(-), and store atmosphere(-)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traditional market($R^2$=.060). Sex(-), age(-),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and reasonable consum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sales promotion, and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reasonal consum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did through store atmosphere.

Keywords

References

  1. 이범일. 현진석, 전유현 (1994). 미래유망상품: 인구구조변화를 중심으로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10월
  2. 김동기 (1982). 현대마아케팅원론. 서울: 박영사. PP.383-440
  3. 오세조 (2001). 손에 잡히는 유통 . 마케팅. 서울: 중앙경제평론사. p. 126
  4. 정연승, 서용구 (2001. 8). 엔터테인먼트형 쇼핑몰의 등장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5. Darden. W. R.. Howell. R. & Miller. S. J. (1980).Consumer socialization factors in patronage model of consumer behavior.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8. pp. 655-661
  6. 최지선 (2003). 대형할인점 의류상픔 구매자의 매장 및 상품 만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2-60
  7.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p. 308
  8. 안석남 (1997).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 의식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백화점과 대형할인점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9-64
  9. 김현숙 (1990). 패션점포의 이미지에 따른 유형화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9-62
  10. 염호 (1986). 점포선택시 소비자 평가기준과 지각된 점포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0-124
  11. 통계청 (2002). 주민등록인구: 구시군 * 5세별 자료검색일 2003. 5. 13. 자료출처: www.nso.go.kr
  12. 채서일 (1994). 신세대에 관한 라이프스타일 분석. 고려대학교 경영논총. 38. pp. 93-107
  13. 홍희숙. (1997). 소비자의 선세대 특성 지향정도에 따른 성적소구 진 의류광고의 선호도 및 제품구매의도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21(2), pp. 333-345
  14. 장윤정 (2000). X세대의 라이스타일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1-58
  15. 신정희 (2001). N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2-33
  16. 라영환 (2002). N세대 의류소비자 구매행동.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8-29. 32-34
  17. 이명희 (2001). 디지털시대와 가정문화: 디지털시대의 청소년과 의생할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가정과학대학 인간생활환경연구소. pp. 33-47
  18. Engel, F. J., Blackwell, D. R., & Miniard, W. P.(1995). Consumer behavior. FL: The Dryden Press. p. 449
  19. Solomon. R. M.. & Rabolt. J. N. (2003),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New Jersey: Prentice Hall. pp. 266-267
  20.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pp. 268-270
  21. 류숙희. 김보연 (2002). 자기이미지가 의복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9(5). pp. 734-746
  22. 강구성 (2000).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들의 점포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3-64
  23. 차은정, 박혜선 (1999). 여고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상표 및 광고이미지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8). pp. 1119-1130
  24. 김경희 (1994) 우리나라 신세대층의 규명과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 거주 18-24세 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6-32
  25. 제열기획 마케텅연구소 (1997). 1998 한국인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동: 자료편. 서울: 경문사, pp. 11-46
  26. 정복희, 박은주 (1993), 의류점포선택과 관련변인 연구: 의생활양식과 점포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7(2). pp. 207-217
  27. Engel, F. J.. Blackwell, D. R., & Miniard, W. P.(1995). Consumer behavior. F.L. : The Dryden Press, p. 846
  28. 김윤희, 김미영 (2001). 의류점포의 서비스 개념체계와 쇼핑유형과의 관련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 PP. 183-194
  29. 전지현 (2001),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지각과 관련변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추호정 (1998), 의류점포내 구매환경 만족도가 고객의 점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주영 (1999). 유통신업태의 의류제품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할인점과 홈쇼핑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김덕배 (1999). 소비자의 점포선택 행동에 관한 연구: 백화점과 할인점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9-61
  33. 우남수 (1995), 의류소매점포의 유형별 속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0-73
  34. 고애란, 진병호 (1995), 상설할인 매장 애고 소비자의 구매성향. 상점속성 중요도 및 정보원 이용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1). pp. 104-114
  35. 조희라 (1995), 의류점포 선호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2-56. 70-74
  36. 조남기 (1990). 우리 나라 소비자의 점포애고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특히 서울특별시 거주 주부의 패션의류구매행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0
  37.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pp. 470-471
  38. 이경호 (1996). 소비자 특성별 소매점 이용행태와 동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4-66
  39. 송영섭. 김영순 (1998). 마케팅, 서울: 문영사. pp. 486-487
  40. Gilchrist. F. W. (1953), The discount house. Journal of Marketing, 1(3). p. 271
  41. 안세원. (2000). 현대마케팅 서울: 한올출판사, p. 360에서 재인용
  42. 정연승 (2001. 11). 국내할인점시장 현황과 성장전략.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43. 연합뉴스 (2001. 6. 6). 유통의 5대 흐름 놓치면 도태된다: 삼성경제연구소. 자료검색일 2002. 5. 12. 자료출처 www.donga.com
  44. 변명식 (2000). 신유통학개론. 서울: 학문사. p. 242
  45.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p. 489
  46.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P. 300
  47. 설경미 (2000). 패션유통업체와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밀리오레와 두산타워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7-29
  48. 이미정 (2002). 우리나라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39
  49. 연민흠 (2001). N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게임이용 실태 및 성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3-67
  50. Erdem, O.. Oumlil, A. B., & Tuncalp, S. (1999). Consumer values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27(4). pp. 137-146
  51. 하종경 (2000). 의류점포선택행동의 유형화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