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상림의 환경생태적 구조 분석 및 생태적 관리방안1

Ecological Management of Sangnim Woods in Hamyang-gun, Korea by Analysis of Ecological Structure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김종엽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조현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발행 : 2004.03.01

초록

본 연구는 함양 상림 천연기념물의 식생구조, 환경피해도 등 환경생태적 구조를 분석하여 생태적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식생구조에서 현존식생은 22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집(31.8%), 졸참나무군집(14.5%)이 넓게 분포하였다 주요 식물군집은 졸참나무군집,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집, 갈참나무군집, 상수리나무군집, 개서어나무군집, 개서어나무-졸참나무군집, 느티나무-졸참나무군집, 조경수식재지 등 8개 유형이었고, 층위발달 정도에 따라 13개 식물군집으로 세분되었으며, 대경목의 수령은 61∼77년생이었다. 환경피해도에서는 등급 3이 51,950$m^2$(32.8%), 등급 4는 5,583$m^2$(3.5%), 등급 5는 4,086$m^2$(2.6%)로 인위적 복원이 필요한 등급 3∼5의 총면적은 61.619$m^2$(38.9%)이었다.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환경피해도를 고려하여 비오톱을 유형화한 결과 총 14개 비오톱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관목층이 훼손된 참나무류 장령림(51,246$m^2$, 32.4%), 단층구조의 낙엽활엽수 장령림(19,906$m^2$, 12.6%)의 분포면적이 넓은 반면, 다층구조의 낙엽활엽수 장령림(2,085$m^2$, 1.3%)과 참나무류 장령림(14,943$m^2$, 9.4%)은 합계 10.7%에 불과하였다. 장기적으로 함양 상림 자연생태계의 안정화를 위하여 다층구조의 낙엽활엽수 장령림 및 참나무류 장령림은 보존대상으로서 이용객 통제와 아울러 보호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며, 관목층훼손 식생지와 단층구조 식생지는 소극적 복원지로서 군집유형별로 상림내 안정된 다층구조의 자연식생구조를 모델로 하여 생태적 천이발달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잔디광장과 조경수식 재지는 적극적 복원지로서 다층구조의 참나무류군집과 낙엽활엽수군집 (개서어나무 우점)을 모델로 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chieved to present ecological administration plan by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and condition rating class(environmental damage degree) of Sangnim Woods Natural Monument in Hamyang-gun, Korea. In vegetation structure part, actual vegetation was classified by 22 patterns and Quercus serrata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31.8%), Quercus serrata community(14.6%) ranged extensively. Main plant community was 8 types, and is fractionated by 13 plant communities according to stratigraphy development degree it is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serrata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Quercus alien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serrata community, Zelkova serrata-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Planted area with korean landscape woody plants. Age of old growth trees that diameter of breast height over 38cm was 61∼77years. In condition rating class, area of class 3 was 51,960$m^2$(32.8%), area of class 4 was 6,583$m^2$(3.5%), and area of class 5 was 4,086$m^2$(2.6%) and gross area of class 3∼6 need artificial restoration was 61,619$m^2$(38.9%). Considering actual vegetation,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condition rating class biotope was classified by total 14 types. While distribution area of Queens spp. old growth forest of shrub damaged(51,246$m^2$, 32.4%) and deciduous broad leaved old growth forest of simple-layer structure(19,906$m^2$, 12.6%) is large and that of deciduous broad-leaved old growth forest of multi-layer structure(2,085$m^2$, 1.3%) and Queens spp. old growth forest of multi-layer structure may have to manage with user control by administration plan for stabilization of Sangnim Woods ecosystem for long-term. Also, both vegetation of shrub damaged and simple-layer structure as negative restoration area should be restored for ecological succession and both grassland and planted area with korean woody plants as positive restoration area should be revegetated by using ecological planting model of native vegetation structure in Sangnim Wood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태호, 오구균, 권순덕 (1991)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5(1): 91-103
  2. 기상청(2001) 한국기후표(1971~2000). 기상청, 동진문화사. 632쪽
  3. 문화공보부(1973) 文化財大觀林(천연기념물편). 문화공 보부, 459쪽
  4.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5. 윤무부, 서민환. 이유미(1998) 한국의 천연기념물. 교학사. 서울, 693쪽
  6. 이경재, 조남훈, 정영관, 조현서(1991) 함양 대관림의 피해상태 및 식물군집 구조. 한국조경학회지 19(2)'.52-64
  7. 임경빈 (1985) 신고 조림학원론. 향문사. 서울. 491쪽
  8. 임경빈 (1993) 천연기념물 -식물편-. 대원사, 서울. 542쪽
  9. 임경빈. 박인협, 이경재(1980)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50: 56-71
  10. Curtis, J. T. and R. P. Mc1ntosh(1951) An upland forest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1. Frissell, S. S.(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wildemess campsites. J. Forestry 76: 481-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