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Flora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Sonjook Island

  • 박선주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김종흥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
  • 김상민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
  • 박홍덕 (대구카톨릭대학교 생물학과) ;
  • 우복주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백기열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발행 : 2004.03.01

초록

본 조사지역인 손죽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 속하며, 지리적으로는 동경 127도 21분, 북위 34도 16분에 위치하고 있다. 유관속 식물을 대상으로 2001년 1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12개월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관속식물은 113과 291속, 519종, 60변종, 5품종 총 584종이 동정되었다. 이 지역은 전형적으로 곰솔이 우점종이며, 남방계 식물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중 특산식물은 10과 10속 8종 5변종으로 총 13종류로 이 지역에서 관찰되는 전체식물종의 2.0%를 나타낸다.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솔잎란, 애기등, 섬첨남성, 및 지네발란 등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 귀화식물은 9과, 20속, 23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종 281종류의 8.2%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은 면적에 비해 한국특산식물, 회귀식물 및 멸종위기식물 등이 많이 분포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지만 한편으로는 귀화식물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는 등 환경오염에 따른 인위적인 훼손의 위협 증대되고 있어 섬 전체에 대해 지속적인 정부의 강력한 관리 및 개발 규제가 있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Sonjook island is located Samsan-myeon, Yeosu-si, Jeollanam-do. All of field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January 2001 to November 2002. The vascular plants recorded as total 584 taxa, 5 forms, 60 varieties, 519 species, 365 geneta, 113 families. Sonjook islands shows the typical vegetations including the lower area of temperate region of Korean peninsula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Pinus thunbergii forest.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recorded as 13 taxa (5 variety, 8 species, 10 genera, 10 families), 4 taxa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Psilotum nudum (L.) Griseb., Milletia japoniea A. Gray, Arisaema negishii Makino, Sarcanthus scolopendrifolius Makino).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3 taxa (20 genera, 9 families, 8.2% among the total naturalized plants in Korea. This area is ecologically important place that Korea endemic plant, rare and endangered plants ranges much than area. On the one hand, threat from degrad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share of naturalized plant rises gradually augment. Strong conservation policy and development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환경연구원(2003). 한국외래식물. 인천
  2. 김광백 (1999) 손죽향토지. 길기획.서울. 353쪽
  3. 김인택(1996) 거제남부지역 식물상. 한국생물상연구지 1: 17-46
  4. 김종홍(1981) 손죽제도의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순천농업전문대학 논문집 18집:171-240
  5. 김종흥, 장석모. 이호준(1984) 거금도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7(3): 132-157
  6. 김철수, 박연우. 양효식, 오장근(1990) 다도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III). 목포대학교 연안환경연구 7(1): 1-11
  7. 김철수. 오장근(1992)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V). 목포대학교 연안환경 연구 9(1): 1-29
  8.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9. 김태욱. 김삼식(1978) 거제도 연근 6개 도서에 관한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 자연보호협회조사보고서 14: 35-58
  10. 산림청, 임업연구원(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산림청 , 240쪽
  11. 안덕균(1998) 한국본초도감. 지학사. 서울. 855쪽
  12. 이영노(1996a) 원색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47쪽
  13. 이우철(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23쪽
  14. 이우철(1996b) 한국식물명고(1). 아카데미서적 서울 234쪽
  15.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쪽
  16. 이창복(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 J. Pl. Tax.14: 22-32
  17. 이호준, 김종흥, 변두원(1985) 외나로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문집 10: 51-85
  18. 이호준, 김종홍, 변두원(1986) 거문도와 대삼부도에 있 어서 관속식물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1(1): 53-92
  19. 장석모, 정정채, 김종흥(1983) 거금도의 특산식물 자원에 관한 조사연구. 순천대학논문집 2: 91-128
  20. Mekhior, H. (1964) A Engler' 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66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