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 박물관소장 16-19세기 지류문화재의 특성

Scientific Evaluation of 16-l9th Century Historic Paper Artefacts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 ;
  • ;
  • 최태호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 조남석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Wazny, Agnieszka Helman (Institute for the Study,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Nicholas Copernicus University) ;
  • Wazny, Tomasz (Institute for the Study,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Nicholas Copernicus University) ;
  • Choi, Tae-Ho (Dept. of Wood and Paper Science,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Nam-Seok (Dept. of Wood and Paper Science,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11.01

초록

지류문화재는 원료, 종이의 기원, 제조년대 및 제조기술과 관련된 많은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지류문화재연구의 제 1단계로서 구성되는 섬유의 식별이며, 지류문화재에 포함된 조성분의 파악이 이의 보존처리 및 수복처리방법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충북대학교 박물관(CNUM)에 소장중인 16-19세기 지류문화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측정수단으로서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Energy 분산 X-ray 분광분석법 (EDX)등을 사용하였다. 16-19 C에 제조된 것으로 생각되는 지류문화재를 분석한 결과, 원료는 섬유장 2.79-16.03 mm, lumen 폭 $4.5-26{\mu}m$,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섬유들의 형태적 특성으로부터 닥나무 인피섬유로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의 종이들이 잘 보존된 상태였다. EDX분석결과, 지류시료들은 많은 종류의 무기성분들(적게는 6종, 많은 경우에는 13종)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S, Si. Ca, P, Al 등이 많았던 결과로부터 충전제로서 주로 석고, 백토, 활석 등이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약 반정도의 시료에서 종이의 장기간 보존을 저해할 것으로 생각되는 S, Cl, Fe등이 검출되었는데, 보존처리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historical paper artefacts from 16th to 19th century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CNUM) in Korea. In order to know the fiber composition, surface features and fiber orientation in historic paper artefacts, LM, SEM and EDX analysis observations were applied. Based on tested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Korean historic papers from 16 to 19th century were made of paper mulberry fibers called dak, which had 2.79-16.03 m of fiber lengthes and $4.5-26{\mu}m$ of lumen widthes, and they were relatively well preserved. According to EDX analysis, the examined papers differed to the contents of inorganics. High contents of S, Si, Ca, P and Al refer to use fillers, such as gypsum, clay and talc, for paper artifacts. In particular, half of samples contained some amounts of S, Cl and Fe. Since those inorganics might be potentially harmful for the paper permanency,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special restoration measures from the preservation point of view.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