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Egalitarianism in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남녀평등의식수준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Purpose : In an attempt to analyse gender-egalitarianism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xual consciousness and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is study will provide data that can be used to develop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on the basis of gender-egalitarianism. Method : The subjects were 141 students (70 boys and 71 girls) in 4 classe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8 classes of first graders in a coeducational middle school, in Seoul. For the evaluation of gender-egalitarianism, a Gender Egalitarianism Scale modifi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Results :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Gender-egalitarianis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compared with boys. All of the boys and girls, had high gender-egalitarianism in the aspect of woman's ability in groups without sexual discrimination, but low gender-egalitarianism in woman's sexual conversation and style of dress. 2. Gender-egalitarianism in boys who had experienced intersexual physical contact, categorized as holding hands, embracing, kissing, and petting,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with inexperienced boys. 3. Gender-egalitarianism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father's education level increased as well as the father's open-mindedness. Factors influencing gender-egalitarianism was social acceptance, the mass media, the attitudes of the school teachers, and the attitudes of older and younger student in school. Conclusions : Based on these results, boys' gender-egalitarianism was lower than that of girls. Systematic education on gender-egalitarianism, combined with sexuality education, is necess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especially boys. In the long term, social acceptable the, mass media, school and home life should be changed for the achievement of the equality of the sexes.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미. 비행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과 공격성.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 교육부. 양성평등학교 문화 선생님이 만든다. 학교 성차별개선을 위한 연수자료. 교육부 출판; 1999
  3. 김선영.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양성적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실현성 및 도덕성 발달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4. 김양희, 정경아.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 한국여성개발원 '99연구보고서 250-4; 1999
  5. 김영혜. 한국 청소년과 학부모의 성역할인지, 성교육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부모자녀 건강학회지 1998;1(1): 31-55
  6. 김영혜, 이화자, 정향미. 남자중학생의 컴퓨터 음란물 접촉 실태와 접촉반응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0; 6(1)
  7. 김지윤, 안채순.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2000; 6(3): 329-343
  8. 김형태.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 및 측정에 과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9. 김혜숙. 인간과 성. 서울 : 에드텍; 1995
  10. 김혜옥. 부산 경남지역의 남자중학생의 컴퓨터 음란물 접촉실태 및 성행태에 관한 논문. 인제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1. 김혜원, 이해경. 청소년들을 위한 양성평등 성교육 방향의 모색 : 남녀 고등학생의 성의식과 성행동 실태에 근거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00; 5(2): 29-45
  12. 서봉연. 자아정체감에 대한 심리학적 일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75
  13. 석종철. 통계로 본 청소년 상담. 서울: 도서출판; 1999
  14. 손정남. 여고생의 성 접촉과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 존중감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 14(8): 468-478
  15. 송명자. 발달심리학. 서울:지학사; 1995
  16. 윤가현. 성문화와 심리. 서울:학지사; 1998
  17. 윤가현. 성별주의 타파와 평등을 위한 성교육. 학교 성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성교육 세미나 1999
  18. 이영자. 성과 사람. 서울: 동녁; 1994
  19. 이은주. 청소년의 성지식 요구. 아동간호학회지 2000; 5(2): 211-234
  20. 임정빈, 정혜정. 성 역할과 여성. 서울: 학지사; 1997
  21. 장휘숙. 청년 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9
  22. 전은강. 고등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23. 정은경. 청소년의 성에 대한 연구 - 성에 대한 관심, 지식, 경험 및 성교육을 중심으로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24. 조혜정. 청소년 성문화 : 성적 주체로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988; 14(1)
  25. 채현수. 중, 고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역할 정체감, 자아존중감과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1999
  26. 한국여성학 연구소. 여성학 영역별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출판부; 1998
  27. Adams J. Understanding adolescence. Boston: Ally & Bacon; 1980
  28. Atwater E. Adolescence. Englewood Cliff, New Jersey : Prentice Hall; 1992
  29. Block J. H. Conceptions of Sex Role: Some Cross-Cultural and Longitudinal Perspectives. American Psychologist 1973; 28: 515-526
  30. Campbell B, Schllenberg EG, Senn CY. Evaluating measures of contemporary sexism.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997; 21: 89-102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7.tb00102.x
  31. Goodykoontz. L. Touch : Attitudes and Practice. Nursing Forum 1979; 18: 4-17 https://doi.org/10.1111/j.1744-6198.1979.tb00664.x
  32. Hefner R, Rebecca M, Oleshansky B. Development of Sex Role Transcendence. Human Development 1975; 18: 143-158 https://doi.org/10.1159/000271481
  33. Helmreich RL, Spence JT,, Wilhelm JA. A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Personal Attributes Questionnaire. Sex Roles 1981; 7: 1097-1108 https://doi.org/10.1007/BF00287587
  34. Leathy RL, Eiter M. Moral Judgment and the Development of Real and Ideal Androgynous Self-image during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1980; 16: 362-370 https://doi.org/10.1037/0012-1649.16.4.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