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ograms for Enhancing Remarried Family Functioning

재혼가정의 가족기능향상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 Published : 2004.05.31

Abstract

A little understood but rapidly growing phenomenon in our society is remarriage. By 2002, 21% of marriage involved the remarriage of one or both partners. Furthermore, the ratio of remarriage of women has outnumbered the ratio of remarriage of men, which is remarkable chang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putting a taboo on women's remarriag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perspective and the direction of programs for enhancing the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For the purpose, we explore the intrinsic vulnerability to family dissolution of remarriage and ill preparation for remarriage of people. There are unrealistic myths around, lack of informations on, absence of guideline for remarriage family life. Also, we discuss the process of remarriage family development, which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marriage shows totally different family structure and family interaction from first marriage nuclear family. Based on discussion mentioned above, several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developing programs for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Above all, the family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remarriage is more useful paradigm rather than deficit-comparison perspective for remarriage family. Also, the programs for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should challenge the unrealistic myths around remarriage such as the instant love between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the re-created nuclear family, etc. Also, several points such as the remarried family developmental stage, the disparity in expectation of man and woman on remarriage, and the tendency to scapegoat a stepmother should be considered in programs for enhancing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가족과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경험하는 극심한 사회변동중의 하나는 재혼의 급증이다. 2002년 전체 혼인의 21%를 차지할 정도의 재혼율 상승, 여성 재혼율의 남성우위현상, 재혼의 불안정성과 높은 재이혼율 등은 사회적 관심과 개입을 요구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배경에서 증가하는 재혼가족의 건강한 기능을 위해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구체적으로 재혼가족 기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적 방향과 관점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관심을 끄는 사실은 재혼의 놀라운 증가와는 달리 재혼생활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는 점, 재혼자들이 재혼에 대한 준비를 거의 하지 않는다는 점, 대신에 재혼에 대한 비현실적인 환상과 사회적 통념만이 크게 존재한다는 점 등이었다. 따라서 재혼가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재혼을 둘러싸고 존재하는 많은 환상들에 도전하여 재혼의 실체를 현실적으로 인식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재혼을 초혼에 준거하여 바라보는 것은 적절치 않으며, 재혼가족 나름의 발달과정을 거치며, 재혼가족에서 보이는 갈등이나 마찰은 하나의 새로운 가족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 현상으로 보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