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LY DETECTION OF INITIAL DENTAL CARIES USING A $DIFOTI^{TM}$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을 이용한 초기 법랑질 우식병소의 조기 진단

  • Yeom, Hae-Wo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Jong-S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염혜웅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유승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종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1.30

Abstract

Over the past 20 years, great strides have been made in research regarding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carious lesions, but new equipment and research tools need to be developed to continue these advancements in caries research. Various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carious lesions, which have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occlusal caries, but a concurre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proximal carious lesions. New diagnostic equipment has been developed to detect early stage carious lesions, and these have demonstrated excellent laboratory results and show promise in clinical applications. The research presented here examines the efficacy of the newly developed $DIFOTI^{TM}$ system in detecting proximal carious lesions compared to traditional intraoral exam and bitewing radiography, possible problems or deficiencies of using the system in clinic, possible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to the system, and the efficacy of detecting early, reversible carious lesions that can be remineralized by preventative fluoride applications. The subject pool consisted of 23 grammer school age patients just prior to entering the mixed dentition phase. Each patient was given a thorough oral examination, radiographic examination consisting of bitewing radiographs of the posterior teeth, and $DIFOTI^{TM}$ examination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Each examination was carried out two times by two examiners,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lpha value of reliability test of the visual oral examination was as follows; occlusal surface was 0.8470. mesial surface was 0.6430, distal surface was 0.5727. lingual surface was 0.2807 and distal surface was 0.2339. When the examination was limited to posterior teeth, the mean alpha value was as follows; occlusal surface was 0.8577, distal surface was 0.8211, lingual surface was 0.7728, buccal surface was 0.7152 and mesial surface was 0.6782. 2. The alpha value of reliability test of the radiographic analysis of carious lesions of the occlusal, mesial, and distal surfaces was 0.8500. 3. The alpha value of reliability test of the $DIFOTI^{TM}$ diagnostic analysis of carious lesions of the occlusal, buccal, lingual, mesial, and distal surfaces was determined to be 0.7917. 4. The $DIFOTI^{TM}$ diagnostic system was found to be the most accurate means of detecting occlusal, buccal, and lingual surface carious lesions (p<0.05), while mesial and distal proximal carious lesions were most accurately assessed using bitewing radiography (p<0.05).

치아 우식증의 발생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지난 20년간 활발히 진행되어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치아 우식증의 원천적인 예방을 이루기 위해서는 보다 새로운 실험 장비와 기구를 이용한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미국의 인디아나 치과대학을 중심으로 초기 법랑질 우식증에 관한 재조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치과계의 지속적인 대민 교육과 홍보 및 불소화사업 등의 우식 예방에 대한 노력과 구강 보건에 대한 대중의 인식 향상을 통해 치아 우식증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치아 우식증이 기존의 교합면보다 인접면에서 더 많이 발견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치아 우식증의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새로운 진단 장비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이미 성능의 우수성이 실험실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인접면 우식증의 진단에 있어 새로 개발된 $DIFOTI^{TM}$ 시스템의 효능을 기존의 방법인 시진 및 교익방사선사진과 비교 평가하고, 임상 적용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차후 $DIFOTI^{TM}$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개선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치아 우식증의 예방 및 불소를 이용한 초기 우식증 재광화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를 마련하고자하였다. 학동기 연령에 있는 유치 탈락 시기에 근접한 것으로 기대되는 2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 검진 2회, 구치부 교익 방사선 필름 판독 2회 그리고 전치부 및 구치부 $DIFOTI^{TM}$ 이미지 판독 2회를 실시하고 각 방법에 대한 신뢰도 평가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 검진시 검사자간 신뢰도는 교합면에서 평균 0.8470으로 가장 높았으며, 근심면 평균 0.6430, 원심면 평균 0.5727, 설면 평균 0.2807 그리고 협면 평균 0.2339순으로 나타났다. 구치부에 국한시킨 경우 교합면에서는 평균 0.8577이었으며, 원심면 평균 0.8211, 설면 평균 0.7728, 협면 평균 0.7152, 근심면 평균 0.6782 순으로 나타났다. 2. 구치부 교익 방사선 사진 판독 결과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는 교합면 평균 0.8346, 근심면 평균 0.8675, 원심면 평균 0.8482 순으로 나타났다. 3. $DIFOTI^{TM}$ 이미지 판독 결과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는 교합면 평균 0.8437, 협면 평균 8379, 근심면 평균 0.8223, 설면 평균 0.7766, 원심면 평균 0.6781 순으로 나타났다. 4. 치아 우식증 진단율을 비교한 결과 교합면, 협면, 설면에서는 $DIFOTI^{TM}$ 이미지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근심면과 원심면에서는 방사선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