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 및 차조기 유전자원의 재분화능

Regeneration Ability in Germplasms of Perilla frutescens

  • 이찬옥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이성호 (동북임업대학 임학원, 임목유전육종실험실) ;
  • 임정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유창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Lee, Chan-Ok (College of of Agriculture & Life Sci., Kangwon Natl. Univ.) ;
  • Li, Cheng Hao (Forest Genetics & Tree Breeding Lab., College of Foresry, Mortheast Forestry University) ;
  • Lim, Jung-Dae (College of of Agriculture & Life Sci., Kangwon Natl. Univ.) ;
  • Yu, Chang-Yeon (College of of Agriculture & Life Sci., Kangwon Natl. Univ.)
  • 발행 : 2004.12.31

초록

본 연구는 들깨의 기내배양에서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의 최적조건의 구명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분화에 요구되어지는 생장조절물질은 다른 종 및 수집장소, 혹은 인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수집종들 사이에서도 서로 차이가 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들깨의 식물체 형성에 있어서 각 계통 간 기내배양에서의 TDZ와 BAP의 처리에 따른 재분화율은 Kocf (한국산 들깨 재배형)의 경우에서는 $1.0\;mg/{\ell}$의 BAP와 TDZ을 처리한 경우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으나 Kowf (한국산 들깨 잡초형)은 저농도의 ($0.1\;mg/{\ell}$) BAP와 TDZ을 첨가한 경우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다. 차조기 의 경우에서는 BAP를 첨가할 경우 고농도에서 신초형성수가 우수한 반면 TDZ을 첨가할 경우에는 저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다. 조합처리에서는 TDZ $1.0\;mg/{\ell}$와 IAA $0.5\;mg/{\ell}$를 조합처리된 배지에서 캘러스 형성율도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신초 형성이나 뿌리 유도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이 필요로 하는 탄소원 외에 배지 내의 삼투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ucrose의 농도에 따른 재분화율은 캘러스 형성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shoot 형성이나 배발생캘러스 형성에서 3%의 sucrose의 농도에서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재분화 조건에 가장 적합한 배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모든 배지에서 높은 캘러스형성율은 보였지만 완전한 식물체로의 분화는 MS 배지에서 조사되었다. Polyamine을 처리한 결과 spermine, spermidine의 경우에서는 고농도($10\;mg/{\ell}$)로 사용할 경우에 양호한 재분화율을 나타낸 반면 putrescine의 경우에는 $5\;mg/{\ell}$로 첨가한 경우 가장 양호한 신초 형성수를 나타내었다. 호르몬의 첨가 없이 기본배지의 macro elements를 조절하였을 경우와 호르몬을 첨가 했을때의 재분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캘러스 형성및 shoot 형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기본배지의 macro elements를 조절한 배지에서 배발생캘러스 형성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protocol of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 cultures of Perilla spp. is reported. Regenerated shoots were obtained from leaf explant cultures on solid MS medium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ytokinins and auxin. The effect of cytokonin and auxin differed depending on each acession. The combination treatments of high level of cytokinin and low level of auxin was more effective for plant regeneration in Perilla frutescens. The best concentration of sucrose was 3% for regeneration. Of spermidine, spermin and putrescine. treatment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plant regeneration was $10\;mg/{\ell}$ spermidine.

키워드

참고문헌

  1. Burkhart L, Meyer JM (1990) Shoot proliferation of Cercis canadensis L. in vitro using thidiazuron and benzyladenine. Hortscience Abst. 25:88
  2. Capelle SC, Mok DWS, Kirebner SC, Mok MC (1983) Effect of thidiazuron on cytokinin autonomy and the metabolism of N6-C2-isophenyl [8-14C] adenosine in callus tissues of Phaseolus lunatus L. Plant Physiol. 73:796-802 https://doi.org/10.1104/pp.73.3.796
  3. Schenk, R. U. and A. C. Hildebrandt (1972) Medium and Techniques for Induction and Growth of Monocotyledonous and Dicotyledonous Plant Cell Cultures, Can. J. Bot. 50:199-204 https://doi.org/10.1139/b72-026
  4. Gamborg OL, Miller RA, Ojima K (1968) Nutrient requirement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root cells. Exp. Cell Res. 50:151-158 https://doi.org/10.1016/0014-4827(68)90403-5
  5. Chu CC, Wang CC, Sun CS, Hsu C, Yin KC, Chu CY, Hi PI (1975)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medium for anther culture of rice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ort the nitrogen sources. Sci Sin 18:659-668
  6. Lee HS, Lee JI, Ryu SN, Hur HS (1994)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anther culture of Perilla. Korean J. Breed. 26(4):345-352
  7. Molanr SJ (1988) Nutrient modifications form improved growth of Brassica nigra cell suspension culture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 15:257-267 https://doi.org/10.1007/BF00033649
  8.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473-497 https://doi.org/10.1111/j.1399-3054.1962.tb08052.x
  9. Finer JJ, Nagasawa A (1988) Development of an embryogenic suspension culture of soybean
  10. Johnson JL, Emino ER (1979) Invitro propagation of Mammillaria elongata HortSci. 14:605-606
  11. Mok MC, Kim SC, Annstong DJ, Mok DWS (1979) Induction of cytokinin autonomy by N-diphenylurea in tissue cultures of Phaseolous lunatus L. Proc. Natl. Acad. Sci. 76: 3880-3884 https://doi.org/10.1073/pnas.76.8.3880
  12. Mok MC, Mok DWS, Turner JE, Muger CV (1987) Biological and Biochemical effects of cytokinin-activated phenylurea derivatives in tissue culure systems. HortSci. 22:1194-11
  13. 이봉호 (1996) 들깨, 참깨, 흑들깨 생산과 이용. 최고 농업 경영자 과정 강의 교재. 96-2 경북대학교농업개발대학원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