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고리, 영광, 울진, 월성, 고성 및 제주의 6개 지역 토양에 대해 $^{137}Cs$ 방사능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고성 및 제주 지역 토양에 대해 $^{90}Sr$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지역은 지리적 위치, 환경조건 및 생성 모암이 각기 다른 특징을 갖고 있으며 $^{137}Cs$ 농도는 불검출 ${\sim}$ 185 Bq/kg의 범위를 보였으며 $^{90}Sr$은 2.79 - 8.n Bq/kg의 농도 범위를 보였다. $^{137}Cs$ 및 $^{90}Sr$ 농도는 지역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표층에서 가장 높고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역별 $^{137}Cs$ 농도분포는 강수량, 유기물함량 등의 요인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토양의 입도 및 점토함량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제주지역 토양의 $^{137}Cs$ 농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은 고성지역이었다. 제주지역의 $^{137}Cs$ 농도는 고성에 비해 2배 가량 높았으나, 토성의 차이로 인해 현존량은 두 지역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Vertical distributions of $^{137}Cs\;and\;^{90}Sr$ activities are studied for the soils of six areas, Korea (Gori, Yeonggwang, Uljin, Weolseong, Goseong and Jeju). The soils from 6 areas are at geographically different locations with th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arent rook. The activities of $^{137}Cs\;and\;^{90}Sr$ vary N.D.(below detection limit) to 185 Bq/kg and 2.79 - 8.06 Bq/kg, respectively. Activities of $^{137}Cs\;and\;^{90}Sr$ show the highest value at the surface soil and decrease with depth. $^{137}Cs$ activities at the top surface soil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nual precipitation and organic carbon content with little relationship with mean grain size and the clay content. The highest $^{137}Cs$activities are found at the Jeju site, followed by the Goseong site of which soils have much different parent rock and textural properties. Though the activities of $^{137}Cs\;and\;^{90}Sr$ on the basis of dry weight are higher in Jeju soils than in Goseong soils, their inventories are similar in both soils due to their textural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