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Study on Severe Accident Risks Between PWR and PHWR Plants

가압 경수로 및 가압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의 중대사고 리스크 비교 평가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e health effects resulting from severe accidents of typical 1,000MWe KSNP(Korea Standard Nuclear Plant) PWR and typical 600MWe CANDU(CANada Deuterium Uranium) plants were estimated and compare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the site extending to 80km for both site were considered. The releaese fraction for various source term categories(STC) and core inventories were used in the estimation of the health effects risks by using the MACCS2(MELCOR Accident Consequence Code System2) code. Individuals are assumed to evacuate beyond 16km from the site. The health effects considered in this comparative study are early and cancer fatality risk,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urves considering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each STC'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arly and cancer fatality risks of PHWR plants we lower than those of PWR plants. This is attributed the fact that the amount of radioactive mateials that released to the atmosphere resulting from the postulated severe accidents of PHWR plants are smaller than that of PWR plants. And, the dominating initiating event of STC that shows maximum early and cancer fatality risk is SGTR(Steam Generator Tube Rupture) for both plants. Therefore, the appropriated actions must be taken to reduce the occurrence probability and the amounts of radioactive materials released to the environment in order to protect the public for both PWR and PHWR plants.

경수로형인 한국형 표준원전과 CANDU형 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의 가상 중대사고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로 인한 인체 건강영향에 미치는 리스크를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두 발전소 모두 반경 80km 까지의 인구분포와 2단계 PSA의 결과로 주어지는 방사선원 방출군별 방출 분율과 노심 재고량을 이용하였으며 평가 도구로는 MACCS2를 이용하였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조기 사망과 암 사망을 선정하였으며 반경 10 마일 밖으로 소개가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평가 결과는 사고 발생빈도를 고려한 리스크를 CCDF 곡선군으로 나타냈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경수로형 원전에 비해 중수로형 원전이 리스크가 적게 나타나는데 이는 중수로형 원전이 경수로형 원전에 비해 가상 중대사고로 인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두 발전소 모두 최대 리스크를 보이는 방사선원 방출군의 대표적인 초기사건은 증기발생기 세관파손 사고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수로형 및 중수로형 발전소 모두 사고로 인한 주변 주민 보호를 위해서는 증기발생기 세관파손 사고의 발생빈도와 이로 인한 대기 중으로의 방사성 물질의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곤, '전환기의 에너지 정책과 원자력산업의 미래,'17차 KAIF/KNS 연차대회(2002)
  2. Rainer Friedrich et al., 'ExternE, Externalities of Energy,' European Commission(1995)
  3. D. I. Chanin, and Mary Young, 'Code Manual for MACCS2, Volume 1, User's Guide, SAND97-0594, Sandia National Laboratories(1997)
  4. 황석원, 제무성, '한국 표준형 원전의 중대사고시 MACCS 코드를 이용한 위험성평가,'방사선방어학회지,28(3) 189-197(2003)
  5. 한국전력공사, 'UIchin Units 3&4 Final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Report,'(1997)
  6. 한국수력원자력(주), 월성 1호기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2003)
  7. A. G. Croff, 'A User's Manual for the ORIGEN2 Computer Code: ORNL/TM-7175,'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1980)
  8. 정종태, 하재주, '기상자료가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 원자력연구소, KAERI/TR-1230/99(1999)
  9. USNRC, 'Severc accident risks: an assessment of five nuclear power plants,' NUREG-1150(1990)
  10. USNRC, 'Reactor Safety Study Appendix VI: Calculation of Reactor Accident Consequences, WASH-1400,' NUREG 75/014, USER(1975)
  11. Daniel J. Alpert, David I. Chanin, and Lynn T.Ritchie, 'Relative Importance of Individual Elements to Reactor Accident Consequences Assuming Equal Release Fractions,' NUREG/CR-4467, USNRC(1986)
  12. S. Hirshberg, G. Spiekerman, R. Dones, P. Burgherr, 'Comparison of Severe Accident Risks in Fossil, Nuclear, and Hydro Electricity Generation,' Paul Scherrer Institute, CH-5232, Switzerland(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