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GNOSTIC VALIDITY OF THE K-ABC AND THE K-LDES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AND LEARNING PROBLEM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에 대한 K-ABC와 K-LDES의 진단적 타당도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s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Soo-Churl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s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s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 Sun-Young (Department of Child & Adolescents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소아 청소년 정신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소아 청소년 정신과) ;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소아 청소년 정신과) ;
  • 전선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병원 소아정신과)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Object:This study examined the diagnostic validity of the K-ABC and the K-LDES for identifying the cognitive deficits and the learning difficult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and to diagnose the learning disorder. Method:The clinical group consisted of 15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companying learning problem(LP) and 14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y were diagnosed either learning disorder 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ased on DSM-IV criteria by child psychiatrists and clinical psychologists visi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normal group was composed of 15 children be going to an elementary school. All groups were between the age of 7 and 12. The K-ABC was administered to the clinical and the normal group. The K-LDES was also administered to mothers of all groups. Result: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quential, simultaneous, mental processing subscales of the K-ABC in three groups. However, The LP group showed slightly lower scores on Achievement scale and significant low scores on Reading/Decoding than the other groups. On K-LDES, LP group showed significant low scores on Listing, Thinking, Reading, Writing, Spelling, Mathematical calculation, Learning quotient(LQ) than the other group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ABC and K-LDES subscales. Conclusion:The result of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K-ABC and the K-LDES are a valid and effective instruments for evaluating and diagnose the learning disorder.

목 적:본 연구에서는 K-ABC와 K-LDES가 학습장애나 학습문제를 보이는 아동들의 인지적 결함과 학습문제를 평가하고 학습장애를 진단하는데 있어 얼마나 타당하고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방 법: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에 내원하여 소아정신과 의사와 임상심리전문가에 의해 LD 혹은 학습문제를 수반한 ADHD로 진단 받은 아동 15명(LP 집단), ADHD로 진단 받은 아동 14명과 서울에 위치하는 공립, 사립 초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15명이 정상집단으로 참여하였다(연령 범위:만 $7{\sim}12$세). 각 아동에게 1대 1로 K-ABC가 실시되었으며, 모가 직접 각 아동들에 대해서 K-LDES를 평정하였다. 결 과:K-ABC의 순차처리, 동시처리, 인지처리과정척도에서 세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습득도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LP 집단이 ADHD 집단과 정상집단에 비해 경미한 수준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문장해독에서는 LP 집단이 ADHD 집단과 정상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K-LDES에서는 LP 집단이 말하기와 수학을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들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매우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K-ABC의 척도들과 K-LDES의 척도들간의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결 론:본 연구는 K-ABC와 K-LDES가 학습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있어 유용하고 타당한 검사 도구임을 보였다. 그러나 LD에만 특징적인 인지적 결함을 밝히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LD의 피험자 수가 적고 ADHD와의 공존병리가 높은 점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K-ABC만을 가지고 LD와 ADHD를 구분하는데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K-LDES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