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20의 한국판 3종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비교

Comparis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Korean Versions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 정운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
  • 임효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
  • 이양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
  • 김상헌 (토론토대학교 토론토종합병원 정신과 섭식장애 클리닉)
  • Chung, Un-Sun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Rim, Hyo-Deog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Yang-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Heon (Eating Disorder Clinic,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 발행 : 2003.06.15

초록

연구목적: 1985년 Taylor 등이 발표한 TAS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1992년 TAS-20으로 개정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혼재되어 쓰이고 있는 세 가지 TAS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를 비교하여 가장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척도를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첫 번째 척도는 1996년 이양현 등이 개발한 것{이후 TAS-20K(1996)}이다. 두 번째 척도는 위 연구에서 "어떤 문제를 묘사하기보다는 분석하는 편이다"라고 직역한 5번 항목의 결과가 예측치와 상반되어 '분석하다'라는 단어에 대한 우리나라와 서양의 문화적 견해 차이를 고려하여 5번 문항을 수정 제안한 것{이후 TAS-20K(2003)}으로서, 타당도와 신뢰도의 호전을 검증하지 않은 것이다. 세 번째 척도는 1997년 신현균과 원호택이 TAS-20을 번역한 것(이후 S-TAS)으로 20항목의 원래 항목 수를 23개로 수정 번역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방 법: 의학과 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척도의 서로 다른 항목, 즉 TAS-20K(1996)의 20항목, TAS-20K(2003)의 수정 제안된 1항목, S-TAS의 23항목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구성된 하나의 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세 가지 척도의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Cronbach $\alpha$ coefficients)를 구하였고 타당도를 비교하기 위해 확증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 과: TAS-20K(2003)은 TAS-20K(1996)보다 내적 일치도가 호전되었다.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척도의 세 요인 구조를 재현하였고, 우수한 내적 일치도와 받아들일 만한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S-TAS는 19번 항목이 요인 2와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고, 이전 연구에서와 같이 2번 항목과 요인 1간의 상관성이 재현되지 않아 본래 요인 2에 속한 19번 항목을 요인 1에도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지 않았다. 결 론: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본 TAS-20의 번역판으로서 우수한 타당도와 받아들일만한 신뢰도를 보였다. 그러나 TAS-20K(2003)은 원본과 동일한 항목 수와 구조, 동일한 점수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TAS-20은 이미 1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는 도구이나, S-TAS는 항목 수 및 점수 체계, 요인 구조를 원본 TAS-20과 다르게 변형시켜 국제적인 비교 연구를 위해서는 제한점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감정표현불능증의 국내 연구에서 TAS-20K(2003), 즉 TAS-20K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Korean versions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and to confirm the most reliable and validated Korean translat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for both clinical and research purpose in Korea. The first one was a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developed by Lee YH et al in 1996 which was designated as TAS-20K(1996) in this study. This scale had a problem with one item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 regarding the word 'analyzing' between western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e second one was the revised version of TAS-20K(1996) on that point by Lee YH et al in 1996 without validation which was designated as TAS-20K(2003) in this study. The third one was a 23-item Korean version developed by Sin HG and Won HT in 1997, which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 in the number of total item, the content of some items and the scoring method. This scale was designated as S-TAS here. Methods: 408 medical students were tested with one scale composed of all the different items randomly arranged from the three versions. We evaluated goodness-of-fit an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of three scales for reliability. We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ompare validity. Results: TAS-20K(2003) showed that it had better internal consistency than TAS-20K(1996), which impli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Korean translation. Both TAS-20K(2003) and S-TAS replicated three-factor structures and had adequacy of fit,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acceptable validity. However, S-TAS had one item with poor item-factor correlation and didn't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 2 and factor 1 as before in 1997. Conclusion: Although S-TAS had added 3 items and changed the content of two items, it didn't show better reliability and validity than TAS-20K(2003). Therefore it is proposed to use TAS-20K (2003)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f results of Alexithymia research. It has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and maintains original items, the same construct and scoring method as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