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주거 개발을 위한 가변성 개념의 유형학적 분석

Typological Analysis of the Flexibility Concept for Sustainable Housing

  • 모정현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발행 : 2003.09.30

초록

From an sustainable perspective, one unique characteristic of Open Housing is its ability to individualize variable elements (infill) from the permanent elements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ts' needs. Such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of Open Housing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life span of the building, reducing the scope of reconstruction, and minimizing the amount of disposed building materials during demoli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lexibility concept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so that the concept of open housing can be better understood and its development can be promoted.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was content analys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flexibility concept in a typological approach, a primary categories were established to describe the flexibility concept such as time for flexibility, scope, and the degree of openness. Subsequently each criterion was elaborated as follows: planning, supply, and utility in the time stage; internal and external flexibility in its scope; and fixed, semi-free, and free flexibility in its openness degree. This research exposes the lack of comprehensive knowledge of Open Housing caused by rather uniform features of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establishes and promotes a systematic approach for a more holistic meaning of Open Housing. This approach should contribute to the proper utiliz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sustainable hous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본재(1996). 가변형 공동주택의 주거변형에 관한 연구: 거주자의 주생활실태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수암(1993). 공동주택의 가변형주호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종호(1999). 아파트 가변형 평면에 관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용규(2001). Skeleton & Infill System주택의 공급방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재영(1994). 아파트 단위평면의 가변성 도입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8-49
  6. 송원경(1999). 주생활변화에 따른 가변형주거의 내부공간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
  7. 장원석(2002). 가족생활주기 분석을 통한 가변형 아파트의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
  8. 장기욱(1996). 가변성에 근거한 3대가족형 공동주택의 건축 계획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암 외 3인(1997, 12). 외국 공동주택의 가변형 평면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3 n.12
  10. 박경애(1999). 주거공간의 가변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3호
  11. 이용규 외 2인(2003, 01). Open Building System 주택의 공급방식을 위한 Skeleton & Infill 기술의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9 n.1
  12. 황은경 외 2인(2003, 04). 공동주택 서포트의 공간변화 대응력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23 n.1
  13. 건축공학대사전 편집위원회(1992. 10). 건축공학대사전Ⅰ, 서울: 세진하
  14. 공동주택연구회(1997). 도시집합주택의 계획 11+44. 서울: 도서출판 발언
  15. 김수암(1999. 2). 오픈 하우징의 이론과 실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과제보고서. 서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6. Habraken, N. J.(1976). Variations: The Systematic Design of Supports. Cambridge: Laboratory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at MIT
  17. Hamdi, N. (1991). Housing without Houses: Participation, Flexibility, Enablement. Van Nostrand Reinhold
  18. Hatch, C. Richard (1984). The Scope of Social Architectur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 Kendall, Stephen (1999, 12). Open Building: An Approach to Sustainable Architecture. Journal of Urban Technology. Vol.6. no.3. pp.1-16. The Society of Urban Technology https://doi.org/10.1080/10630739983551
  20. Kendall, Stephen & Teicher, Jonathan (2000). Residential Open Building. 301 p., Ill., E&FN Spon, London and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