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수정시술로 출생한 쌍생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비교 분석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 of Twin Pregnancie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 김경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소아과) ;
  • 민우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임재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전누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원혜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
  • 김정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
  • 김애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이필량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
  • 이인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
  • 김기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김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
  • 피수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Kim, Kyung-Ah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Jei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Min, Uoo-Gyung (Division of Neonatology,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Lim, Jae-Woo (Division of Neonatology,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Jun, Nu-Lee (Division of Neonatology,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Won, Hye-Sung (Department of Obstetric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im, Chung-Hoon (Department of Obstetric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im, Ellen Ai-Rhan (Division of Neonatology,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Lee, Pil-Ryang (Department of Obstetric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Lee, In-Sik (Department of Obstetric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im, Ki-Soo (Division of Neonatology,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im, Ahm (Department of Obstetric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Pi, Soo-Young (Division of Neonatology,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투고 : 2002.09.30
  • 심사 : 2002.11.01
  • 발행 : 2003.03.15

초록

목 적 : 불임의 증가와 함께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신생아의 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임상적 예후와 경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본원에서 출생한 체외수정 쌍생아의 임상적 경과 및 예후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6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분만된 신생아 460쌍 중 250쌍의 자연 수정에 의한 쌍생아(대조군)와 체외 수정 시술에 의해 출생한 156쌍의 쌍생아를 대상으로 재태연령, 출생체중, 성비, 입원률, 1분/5분 Apgar 점수, 동맥관개존증의 발생 및 인도신 치료 여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일과성 빈호흡, 황달, 미숙아망막증, 뇌출혈, 괴사성 장염, 패혈증, 전해질 이상, 선천적 기형의 발생 유무를 비교하였으며, 입원기간과 사망률을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산모의 나이와 출산력 및 조기양막파열, 임신성 고혈압, 조기진통의 발생 여부와 임신 중의 입원횟수와 입원기간을 비교하였다. 결 과 : 6년간 본원에서 출생한 쌍생아는 총 460쌍이었으며 이중 체외수정시술에 의해 출생한 쌍생아는 156쌍(34.1%)이었다. 산모의 과거력과 임신성 합병증, 임신기간, 출산 형태에 대한 비교에서 산모의 나이, 출산력, 입원기간 등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산모에서 조기진통의 횟수가 많았고, 입원 횟수가 의미있게 많았다. 분만 형태의 비교에서 체외수정시술을 받았던 군이 자연수정군에 비해 수술로 분만한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으며(93% vs 82%) 응급 수술보다 정규 수술이 의미있게 많았다. 신생아의 비교에 있어서 몸무게, 성비, 동맥관개존증의 발생 및 인도신 치료 여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일과성 빈호흡, 황달, 미숙아망막증, 뇌출혈, 괴사성 장염, 패혈증, 선천적 기형의 발생 유무, 생존율, 입원기간 등은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 1분, 5분 Apgar 점수가 자연수정군에서 높았으며, 전해질의 이상소견이 체외수정시술군에서 의미있게 많았다.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생아군에서 첫 번째 아가와 두번째 아가를 비교하였을 때 출생체중,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율, 입원기간 등은 차이는 없었으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동맥간개존증, 패혈증, 괴사성장염 등은 두번째 아가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생아의 출생은 전체 쌍생아 출생아의 34.1%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였을 때 체외수정군과 자연수정군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 To examine various neonatal outcomes and perinatal factors resulting from assisted reproduction compared to that of spontaneous conception.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e control cases were all twins of spontaneous conception born between periods from January 1995 to June 2000. The study cases were identified from twins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on in the same time peried. A total of 460 sets of twins consisted of 250 twins of spontaneous conception and 156 twins of assisted reproduction were studied. The primary outcomes were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and the secondary outcomes were perinatal factors including number, length and cost of hospitalization for the delivery. Results : No differences were seen in various neonatal factors including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incidence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atent ductus arteriosus, necrotizing enterocolitis, hyperbilirubinemia, sepsi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s. Lower one minute and five minute Apgar scores and frequently encountered electrolyte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neonates of assisted reproduction. In general, the second twin of assisted reproduction had increased incidence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epsis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than the first twin. Increased frequencies of preterm labor, hospitalization and elective cesarean section were seen among mothers who underwent artifical conception. However, overall hospital costs in terms of mothers hospitalization for the delivery and neonates hospitalization did not show differences. Conclusion : Assisted reproduction twins had similar neonatal morbidities, mortalities and perinatal morbidities compared to those born by spontaneous concep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