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Screening Test for Obesity in Obese Adolescents and the Correlation Among Obesity Index, Body Mass Index and Serum Lipid Profile

청소년에서 유용한 비만의 선별검사와 비만도, BMI 및 혈청지질과의 관계

  • Sung, Tae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Kim, Dal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Hong, Young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Son, Byong Kw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Chang, Kyung Ja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ha University) ;
  • Park, Jun Young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 Kim, Soon Ki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성태정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달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홍영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손병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장경자 (인하대학교 식품영양과) ;
  • 박준영 (한국 건강관리협회) ;
  • 김순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09.24
  • Accepted : 2002.11.09
  • Published : 2003.03.15

Abstract

Purpose : Every year, there is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hildren with excess body fa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useful screening method in assessing adolescent, obesity and to specify the predictable risk factors that are related to adult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BMI and obesity index. Methods : From July to November in 2001, a total of 2,814(male : female=2,011 : 803) mid to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obesity range according to obesity index(>20%) were evaluated according to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BMI), obesity index, and serum lipid levels. Results : Among the obese students over 20% by obesity index, 86.6% were over the range of 95 percentile by BMI. Among students defined as obese by BMI, 21.0% of males and 21.4% of females students had hypercholesterolemia; by obesity index, the ratio was 20.7% male and 19.0% female. The frequency of hypertriglyceremia in male students was 15.0% in group I(overweight group, 85P97p); in female students 11.8%, 20.7% and 28.2% respectively. Conclusion : In this study, using BMI alone to test the serum lipid level in adolescent obesity had a limit of 10.0-17.0% omission. Therefore using obesity index as a screening method to find the adult cardiovascular disease would rather reduce the omission rate. Th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BMI was the increasing level of triglyceride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 think that using the obesity index has more rationale rather than BMI in assessing lipid profiles.

목 적 :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아와 청소년기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비만을 진단하는 기준 중, 어떤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비만아 선별검사에 좀더 유용한가에 대해 알아보고, 이렇게 선별된 비만아에서 비만과 관련된 여러 심혈관계 성인병 발생 위험 인자 중 조기에 예측 가능한 인자를 알아내어, 어떠한 인자가 추적관찰에 유용한지 알아보았다. 방 법 : 2001년 7월부터 11월까지 한국건강관리 협회와 인천광역시 교육청 주관으로 비만도 20% 이상인 중 고등학생 2,814명(남 : 녀=2,011 : 803)을 대상으로 하여 체중, 신장, 신체측정, 혈청지질(총 콜레스테롤, 혈청지질,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결 과 : 비만도 20% 이상인 중고생에서 BMI 95 백분위수 이상은 86.6%였으며, 체지방 기준에 의한 비만은 93.2%, 피하지방 두께에 의한 비만은 45.6%였다. BMI에 따른 비만아 중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남아 21.0%, 여아 21.4%를 보였고, 비만도에 따라 나눈 남아 20.7%, 여아는 19.2%로 BMI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MI에 따라 판정된 비만아를 세분하여 제 I도 과체중(고위험군, group I), 제 II도 과체중(비만, group II), 제 III도 과체중(과비만, group III)으로 나누어 보면, 남아에서는 고중성지방의 빈도가 group I에서는 15.0%, group II에서는 23.2%, group III은 34.5%로 비만할수록 더욱 증가하였고, 여아에서는 group I에서는 11.8%, group II는 20.7%, group III은 28.2%였다. 비만도에 의하면 남아에서 경도비만은 17.2%, 중증도 비만은 29.2%, 고도비만은 39.7%였고, 여아에서는 10.0%, 19.5%, 29.8%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비만시 혈청지질 검사를 BMI만으로 하였을 경우 10.0-17.0%의 누락을 보였으므로 BMI 기준에 의한 혈중 지질의 측정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비만할수록 높아지는 고지혈증의 빈도는 비만도에 의한 것이 BMI보다 더 잘 반영하였다. 따라서 성인병 선별검사는 비만도에 의한 것이 좀더 누락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심혈관 질환발생 위험 예측인자로는 남녀 모두 비만할수록 중성지방이 증가하여 중성지방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