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very Rate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from Acid-Fast-Bacilli Smear-Positive Sputum Specimens

항산균 도말양성 객담에서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의 분리 비율

  • Koh, Won-J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won, O J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u, Chang Mi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eon, Kyeongma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h, Gee Yo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ung, Man Pyo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ojoo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an, Sang Wo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Sun Yo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Nam Yo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고원중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권오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유창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전경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서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정만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김호중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한상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 박선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 이남용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Published : 2003.01.30

Abstract

Background : Sputum smears for acid-fast bacilli(AFB) examined microscopically is the most important diagnostic test for pulmonary tuberculosis. However, the AFB observed on the smear may represent either M. tuberculosis or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This study examined the recovery rate of NTM from the AFB smear-positive sputum specimens in a tertiary hospital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for the 1,889 AFB smear-positive and culture-positive sputum specimens collected from 844 patients from July, 1997 to December, 2001. Results : The 1,889 sputum specimens collected from 844 patients tested positive on both microscopy and culture during the 4.5 years. The NTM were recovered from 10.3% (195/1,889) of the smear-positive sputum specimens and 11.0% (93/844) of patients with smear-positive sputum. The NTM were isolated more than two times in 44.1% (41/93) of the patients from whom the NTM was recovered. Trends of the recovery rate of the NTM from the AFB smear-positive sputum specimens were increasing from 6.5%(17/262) in the latter half of 1997 to 17.8%(36/202) in the latter half of 2001 (p<0.001, test for trend).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patients with AFB smear-positive sputum have NTM pulmonary disease rather than pulmonary tuberculosis in Korea.

배경 : 객담 항산균 도말검사는 폐결핵 진단의 가장 중요한 검사로,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객담 도말양성을 폐결핵 진단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도말검사만으로는 결핵균과 NTM의 구별이 가능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한 삼차 민간의료기관에서 항산균 도말양성 객담에서 NTM의 분리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7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4년 6개월간 진단검사의학과 임상미생물검사실로 항산균 도말 및 배양검사가 의뢰된 객담 중 도말양성, 배양양성 검체 1,889건을 대상으로 하여 도말과 배양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844명의 환자에서 시행된 1,889건(평균 2.2회, 범위 1-21회)의 객담검사가 도말양성, 배양양성을 보였다. 1,889건의 객담 중 195건(10.3%)에서 NTM이 분리되었다. 2회 이상 도말양성, 배양양성을 보인 환자에서 가장 먼저 검사가 의뢰된 객담 1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을 때 751명(89.0%)의 환자에서는 결핵균이, 93명(11.0%)의 환자에서는 NTM이 분리되었다. NTM이 분리된 93명의 환자 중 41명(44.1%)은 2회 이상 도말양성 객담에서 NTM이 분리되었다. 시기별로 살펴보았을 때 NTM 분리비율은 1997년 하반기 6.5%(17/262)에서 2001년 하반기 17.8%(36/202)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p<0.001, test for trend). 결론 : 위와 같은 결과는 국내에서도 객담 항산균 도말양성 환자의 일부가 폐결핵이 아닌 NTM 폐질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