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Early introducing the ducks into the paddy field involves a variety of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new surroundings and contact with water, so that some free-ranged ducks show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dicative of stress or die from not adapted for new circumstances. Moreover, the free-ranged ducks was tread on the rice plant, and required a great deal of labor and time for captured the ducks after finishing the introduc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ccustoming and imprinting of duckling on behavior patterns, body weight gain and yield of the rice plant in paddy fields. Three paddy plots were used as control (no imprinting and no contact with people), taming (imprinting and regular handling) and roughness (handling roughly and strike terror to ducks) plots. Right after introducing the ducks into the paddy field, eating and moving behaviour of taming plot ducks tended to be longer time spend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However, eating and moving time tended to be longer in the control than that of other two treatments on the 2 weeks after. Flighting distance was not showed in the free-ranging period taming plot, but the control plot was significantly (P<0.05) longer than the roughness plot. The captured time of free-ranged ducks tended to be shorter in the order of taming, control and roughness plots. Body weight gains was not significant. The number of rice plants damaged by free-ranging ducks in the taming plot were significantly (P<0.05) less than that in the control plot, but the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the rice plant were not differ among 3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mprinting or regular handling and related treatments of duckling was reducing badly damage of rice plants, captured time and labor of free-ranged ducks in paddy field, although the working behavior of ducks and yield ability of the rice plants were not affected.
오리농법에 있어서 논 방사 직후의 새끼오리는 물을 포함한 논 환경에 충분히 적응하지 못하고 폐사하거나 사람에 대한 도피행동에 의해 벼를 밟아 넘어뜨리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방사종료 후 오리포획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오리 육추시 특정의 사육관리를 통한 행동학적 측면에서 해결하고자, 논 방사할 오리에 대해 각인학습과 길들이기 등 온순한 관리를 행한 순치구, 거칠고 난폭하게 관리하면서 공포심을 부여한 조폭구 및 각인학습이나 길들이기, 공포심 등 사람과의 접촉경험이 거의 없는 대조구의 3 처리구로 구분하고, 오리의 행동유형, 성장 및 벼 수량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리의 행동유형에 있어서 논 방사직후의 채식과 이동행동은 조폭구 및 대조구에 비해 순치구에서 가장 많았고, 방사 2주 후의 채식과 이동행동에서는 순치구 및 조폭구보다 대조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람에 대한 도피반응거리에 있어서는 순치구에서 전혀 도피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조폭구보다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오리 포획시간은 순치구에서 가장 짧았고, 다음으로 대조구, 조폭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오리 순치방법에 따른 증체량에서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벼 결주발생율은 대조구에 비해 순치구에서 유의적으로 적었고, 수량성에 대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 육추시 및 논 방사시의 각인학습과 온순한 관리는 벼의 결주 발생을 경감시키고, 오리가 사람에게 쉽게 순화되어 포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논에서 오리의 노동행동과 벼 수량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