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iglets communicate with their sow by using special sounds and synchronize their suckling behavior with their mother’s grunting. This study sought to find an effective sound for controlling the nursing/suckling behavior of pigs. Eighteen crossbred Landrace${\times}$Yorkshire sows and their piglets were studied on days 1, 7, and 14 post-partum. The parity of the sows was three or four. The litter size ranged from 9 to 11, with a mean of 10.4 piglets. Thirty minutes after the end of the last suckling, either the nursing-suckling sound (NSS) or the nursing-suckling sound + click sound (NSSCS) was played for 90 s randomly, and this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The behavior of the sows and their piglets was recorded using camcorders and observed each second. When comparing NSS and NSSCS, there was less lying and sleeping and more sitting, standing, walking, and massaging when NSSCS was played than when NSS was play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SSCS may induce more nursing and suckling in pigs than NSS.
본 연구는 수유 후 30분에 NSS와 NSSCS를 분만 후 1일, 7일 및 14일차에 모돈과 포유자돈에게 재생하였을 때 모돈과 포유자돈의 행동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수 포유행동을 유발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소리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만 1일차의 모돈에서는 SI와 ST가 차이가 없었으나(p<0.05), 분만 7일차의 모돈에서는 SI가 NSS구에 비하여 NSSCS구에서 높았을 뿐만 아니라(p<0.05) ST도 NSS구에 비하여 NSSCS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리고 분만 14일차의 모돈에서도 SI가 NSS구에 비하여 NSSCS구에서 고도로 높았으며(p<0.01), ST도 NSS구에 비하여 NSSCS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포유자돈의 경우 포유행동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M이 NSS구에 비하여 NSSCS구에서 일령에 관계없이 높았는데 7일령과 14일령에서는 유의차가 나타났으며(p<0.01), W는 7일령에서만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따라서, 모돈의 수유행동과 포유자돈의 포유행동을 유발시키는데 NSS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이 되지만 NSSCS가 NSS보다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