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Landscape Fragmentation for the Urban Landscape Planning

도시경관계획수립을 위한 경관파편화에 관한 연구

  • Jung, Sung-Gw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Oh, Jeong-Ha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ung-Hun (Environmental Science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3.06.06
  • Accepted : 2003.07.29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Many-sided approach methods are being demande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urban areas. One of these methods will be to manage forests scattered in urban areas efficiently. This paper is to grasp the change of land use and landscape indices in Mt. Ap, Daegu, and to analyze the change of landscape structure. Mt. Ap is near Daegu Metropolitan, so under unnatural interferences of human activity persistently. The results of above analysis run as follows: First, the north of the case area is connected to forest, and keeps stable equilibrium ecologically, while the other parts of it suffer from rural exodus and side effects of urbanization which has been completed since 1980. Second, according to the area-rate change of each landscape element, a cultivated areas has been converted into urban one, especially Pinus densiflora forests and paddy fields into mixed forests and urban areas. Finally, most of plantations have been converted into deciduous forests and mixed forests in failure of adaption of plants in burned areas rather than owing to factitious interference.

최근 부각되고 있는 도시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되는데, 도시지역에 산재해 있는 도시림의 효율적인 관리는 그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와 인접해 있는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오래전부터 인간의 간섭을 지속적으로 받아온 대구광역시의 앞산자연공원을 대상으로 토지이용 변화 및 경관지수를 사용하여 경관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역의 남쪽으로는 산지연계형의 도시림 특성으로 인해 생태적으로 안정된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그 외 지역에서는 대구시의 산업화로 인한 이농현상으로 1980년 이전에 도시화가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관요소별 면적변화에 따르면, 경작지의 대부분이 도시지역으로 전용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표적인 경관요소가 소나무림과 농경지에서 혼효림과 도시역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관지수 분석결과, 조림지에 있어서 인위적인 간섭보다는 산불의 피해임지에 조림된 수종의 조림실패로 인해 활엽수 및 혼효림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