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and Waters around the Pungam Landfill in Gwangju City, Korea

광주광역시 풍암매립지 주변 하상퇴적물과 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 박천영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
  • 신인현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 배종필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 안건상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geochemical properties for stream sediments, surrounding soils, sludge collected in the drainage pipe of leachate and waters (stream water, groundwater, leachate) around the Pungam Landfill in Gwangju city. The stream sediments don't show any systematic trend of content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 most enriched major element in the stream sediments is Fe (up to 7.08wt.% in GJ-23). Though stream sediment GJ-23 and GJ-34 were enriched by some heavy metals (eg. As, Cu, Zn), they do not constitute serious problems for environment consideration. The concentration of Fe (35.lwt.%) and As (38ppm) are significantly high in the GJ-8, which is soil specimen adjacent to leachate reservoir. The sludge (GJ-7) shows very high concentrations of As, Mn, Cr, Pb. In particular, the Cr content is 45.6 ppm, which exceeds the permitted level. The leachate is characterized by high TDS (2210-2470mg/L) and high electric conductivity (468, 530ms/cm), and enriched in both cation (Na, K) and anion (HCO$_3$). The leachate(PK-3) had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Cl, and is plotted in Na-Cl type on the Piper's diagram. The NO$_3$-N of the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exceeded the permitted levels for drinking water.

광주광역시의 풍암매립지 주변에 분포하는 하상퇴적물, 주변토양, 침출수의 배수관 내에서 채취한 슬러지 그리고 물(하천수, 침출수,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하상퇴적물에서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규칙적인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하상퇴적물에서 가장 풍부하게 산출되는 주원소는 Fe(7.08wt.%)이다. 하상퇴적물 GJ-23, 34는 중금속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지만, 심각한 환경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는 아니다. 주변 토양 중에서 침출수 저장고와 인접한 토양(GJ-8)에서의 철 함량은 35.1wt.%, 비소 함량은 38.8ppm으로 가장 높다. 침출수구에서 채취한 슬러지 시료 GJ-7의 Cr함량은 .45.6ppm으로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훨씬 초과한다. 침출수는 총용존물질(2210, 2470mg/L)과 전기전도도(468, 530ms/cm)가 높고, 양이온에서 Na, K가, 음이온에서 HCO$_3$가 우세하다. 침출수인 PK-3은 Cl함량이 비교적 높아 파이퍼도에서 Na-Cl 영역에 점시된다. 지하수와 하천수는 질산성질소의 함량이 음용수 기준을 훨씬 넘어서 식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병두, 서정희, 오석훈, 1998, 부산시 석대 매립지의 중력, 자력, VLF탐사. 자원환경지질, 31, 59-68
  2. 김경웅, 손호웅, 1994, 대전시 신대동 폐기물매립지 주변지역에서의 지하수 및 토양의 중금속오염. 지하수환경, 1, 85-89
  3. 김동우, 한영수, 이재영, 2000, 불량폐기물 매립지 및 주변 토앙 오염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회의 요약, 310-313
  4. 민경원, 정연태, 1996, 춘천지역 토양 및 분진 중의 유독성 미량원소의 분포에 관한 지구화학적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3, 251-265
  5. 박천영, 김성구, 2002, 광주시 운정동 위생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에 대한 지구과학적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9, 98-111
  6. 배재근, 오종민, 1995, 토양오염학, 신광문화사, 372 p
  7. 오석영, 전효택, 1996, 폐기물매립지 주변의 지하수 오염과 오염물질의 지연 특성. 지하수환경, 3, 37-49
  8. 이기화, 권병두, 정호준, 1996, 난지도 매립지 전기 .전자탐사. 지하수환경, 3, 95-100
  9. 이철효, 한정상, 1996, 난지도 매립지 주변 지하수 환경의 오염특성에 관한 연구. 지하수 환경 , 3, 27-36
  10. 이평구. 이재영, 1997, 프랑스 A-71고속도로변 Retention pond의 기능 평가. 한국토양학회지, 2, 73-81
  11. 이평구, 박성원, 염승준, 2001, 공주 금흥매립지의 중간복토재 및 차수재(논토양)의 중금속 오염과 존재형태 연구. 자원환경지질, 34, 283-299
  12. 장연수, 이광열, 1994, 난지도 매립지 지반을 통한 오염이 특성과 제어.지하수환경, 1, 1-5
  13. 정상용, 1995,부산석대 폐기물 매립지 일대의 지하수 오염, 지하수환경, 2, 1-8
  14. 정상용, 권해우, 이강근, 김윤영, 1997, 부산석대 폐기물 매립지 일원의 수질환경. 지하수환경, 4, 175-184
  15. 정상용, 이강근, 1998, 포항 옥명 폐기물 매립지의 지하수 환경. 지하수환경, 2. 1-8
  16. 정하익, 김상근, 2000, 폐기물매립지 주변토양 및 지하수 오염도 조사 및 분석. 한국지하수토양학회, 2000년 춘계발표회 전문집, 116-119
  17. 차종문, 김주용. 이병태, 김경웅, 1999, 광주지역 일곡 매립지 주변에서의 하천수 및 지하수 오염 모니터링. 자원 환경지질, 32, 485-493
  18. 최병순, 김진환, 이동훈, 1997, 토양오염개론. 도서출판 동화기술, 287 p
  19. 한국자원연구소, 1995, 지구물리 지구화학적 오염영역 탐지 및 감시기술개발연구(I). 과학기술처 ,422 p
  20. 황상구, 김규봉, 이병주, 1990, 광주도폭 지질 보고서, 한국 동력자원연구소, 15 p
  21. Kabata-Pendias, A. and Pendias, H., 1984, Trace elements in soil and plants. CRE press, Floiida, 315 p
  22. Kemp A.L.W., Thomas R.L., Dell C.L, and Jaquet J.M., 1976, Cultural Impact on the Geochemistry of Sedement in Lake Erie. Joumal of Fish. Research Board Canada, 33, 440-462 https://doi.org/10.1139/f76-065
  23. Kemdorff, H., Schieyer, R., and Milde. G., 1992, Geochemistry of groundwater pollutants at German waste disposal sites, In: S. Lesage and R.E. Jackson(ed)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Analysis at Hazardous Waste sites, Marcel-Dekker Inc., 245-271
  24. Kindler F.M. and Sevin H.E., 1990, Heavy metals in Sediment of Turkish river systems. Natural background and anthropogenic effects, In Broekaert J.A.C.(ed), Metal Speciation in the Environmental, Springer-Verlag, 601-611
  25. Lee P.K., Baillif P., Touray J.C., and Ildefonse J.P, 1997,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etting Particles in a Retention Pond along the A-71 Motorway in Sologne, France. Society of Total Environment, 201, 1-15 https://doi.org/10.1016/S0048-9697(97)84048-X
  26. Muller G., 1979, Schwermetalle in den Sedimenten des Rheins-Verderungen seit. Umschau, 79, 778-783
  27. Nicholson, R.V, Cherry, J.A., and Readon, E.J., 1983, Migration of contaminants in groundwater at a landfill: A case study; 6. Hydrogeochemistry, Journal of Hydrology, 63, 131-176 https://doi.org/10.1016/0022-1694(83)90226-3
  28. Wadleigh, C.H., 1968, Waste in relation to agriculture and forestry, Misc. Publication No. 1065., U.S. Department Agricultural, 112 p
  29. Yong, R.N., Mohamed, A.M.O., and Warkentin, B.R, 1992, Principles of Contaminant Transport in Soils, Elsevier,32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