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Fordist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New Urbanization Process

탈포드주의적 경제발전과 새로운 도시화

  • 강현수 (중부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최병두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Post-Fordist urban economic theories that have tackled the recent changes of urban economies in large cities in the world since 1980s, so that we can conceptualise the changes of urban economies in Korean cities. In the perspective of the Post-Fordist urban economic theories, the recent changes of urban economies in the world are deeply related to the transformation of capitalist world economic system from Fordism to Post-Fordism. To see these changes which can be called as the new urbanization process in the economic aspect, we will focus especially such theories as new industrial space (district) theory based on the flexible specialization paradigm, informational city theory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de paradigm, and cluster and regional innovation theory based on the institution and network paradigm. Also we will consider the social polarization process and dual city phenomena that have been observed for the most part of big cities in the world.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의 대도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 경향들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려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1980년대 이후 서구의 지리학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도시 경제 변화 이론들의 동향을 탈포드주의적(Post-Fordism) 입장에서 고찰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80년대 이후 서구 학계의 대도시 경제변화 이론의 전개 과정을 포드주의에서 탈포드주의로 세계 경제 체제가 변화하는 흐름과 관련지어 살펴보면서, 대도시경제 변화의 주요 경향들과 그 원인들을 살펴본다. 이중 특히 경제체제의 유연화에 따른 도시 경제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려는 스코트(A.J. Scott) 등의 신산업공간(지구)론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도시 경제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려는 카스텔(M. Castells) 등의 정보도시론, 90년대 이후 제도주의 및 네트워크 패러다임 아래서 연계, 지식, 학습,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클러스터 및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본다. 한편 최근 세계 주요 대도시 경제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경향인 사회 양극화 및 도시의 이중구조화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이론이 우리나라 대도시 연구에 갖는 시사점을 간단하게 짚어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