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Volume 4 Issue 2
- /
- Pages.147-155
- /
- 2003
- /
- 1598-2009(pISSN)
- /
- 2287-738X(eISS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 Land Estimation
토지평가 디지털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problem of the objective adequacy on land estimation has been seriously discussed with the Issue of paradigm conversion on land policy as the economy situation has been worse enough to be confused due to the sale price which could not be predicted in Korea. Especially as the data of the government land value is not recognized as the official one, the separate alternation has been adopted to calculate the value of land compensation or development allotment. Rather it has raised a question in argument that the system of the declared value does not accomplish its basic function properly on the contrary of the original purpose to unify the computation of the government land value. To reconsider the adequacy of government land value, the most crucial factor is to select the items of land estimation reasonably. In addi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the system of digital contents to provide the data of land evaluation which most of people could trust, who are facing of the flood of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우리나라 부동산의 예측할 수 없는 매매가로 인해 경제가 혼란스러운 최근에 토지정책의 패러다임 전환론과 더불어 토지평가자료의 객관적 적정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 공시지가자료가 공신력을 인정받지 못함으로서, 토지보상금이나 개발부담금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지가가 별도의 방법으로 산정 되는 등 공적지가 산정의 일원화를 목적으로 도입된 공시지가제도가 기본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공시지가의 적정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토지평가 항목이 합리적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홍수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토지평가자료를 제공해주는 디지털컨텐츠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실거래지가와 형평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토지평가모형 개발의 방법론을 제안하고 실거래지가에 기초한 토지평가 디지털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용도지역별로 실거래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기존의 부동산 웹사이트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