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of Public Records in Korea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Recordskeep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한국의 기록물 둥록 및 기술에 대한 기록관리적 접근

  • Received : 2003.02.01
  • Accepted : 2003.02.15
  • Published : 2003.03.30

Abstract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of records are important elements of processing which provide with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production of records and business-related information. They also enable to search and use the record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Korean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system define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hich directs the records creating agency to register records in creating offices and directs the "professional archives" to make "basic registrations" and "detailed registrations" of the records. I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wo different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systems with the known international standar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uch as ISO15489 and ISAD(G), I intended to evaluate the Korea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suggested recommendations for the renovation of the Korean recordskeeping system. Despite we have unique office business procedures and the culture of officialdom, and despite we have developed our system based on the established business procedures and office culture, it would be preferable to adopt or follow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established best practices.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I recommended some innovations in the filed of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For instance, in the basic registration. we would better to install an item of "simple contents summary." We may also need the multiple-level description. The fonds level description and the series level description should be introduced to our archival automated management system. We need to establish a Korean standard of description adopting the rules of the ISAD(G) and ISAAR(CPF). Essential requirements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uch as contextual and structural inform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new standard. Documentation of records disposition also should be reinforced to guarantee the authenticity of records and to ensure control of the records. To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for the standard, we need to amend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its Regulations and Rules. Also it is imperative to redesign the GARS integrated archival automated management system.

기록물의 등록과 기술은 기록물의 생산배경과 업무행위 관련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검색을 편리하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항목이다. 전자문서체제에서는 기록물이 일정기간 생산기관에서 활용되다가, 준활용단계가 되거나 비활용단계가 되어 기록물을 처리할 때에도 등록시 입력되었던 data 요소들이 그대로 활용되기 때문에, 전자기록체제 하에서 기록물의 등록사항은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의 기록물 등록 및 기술사항을 국제표준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우선 등록부분에서는 기본등록단계에 내용기술을 넣어, 첨부여부 쪽수 결재사항 등을 기술하도록 하고, 각기 항목으로 되어 있는 첨부번호, 결재권자, 확인란 등은 생략한다. 세부등록단계에서는 발송방법, 발송등록 분류등록 전체 수정, 특수목록 등을 생략하되, 등록할 필요가 있는 것은 내용기술에서 서술한다. 다음으로 체제 판본 문서링크 적요 등 기록물의 구조와 등록된 체제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보 즉 생산맥락 및 링크 등을 등록항목에 넣도록 한다. 기술부분에서는 우선 다층기술을 채택하되, 퐁과 시리즈 계층의 기술을 도입한다. 국제표준정리기술규칙인 ISAD(G)와 ISAAR(CPF)를 적용하여 전거통제 정보 및 비고영역과 마찬가지로 체계와 구조에 관한 정보, 예컨대 기록물의 범위 및 내용, 기술단위의 한도 및 매체, 행정 기관연혁 검색도구 등과 아키비스트의 주기 및 기록물 이력 기록물처리 기록(Documentation)을 기술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표준을 마련하되, 전자기록물 관리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항목들을 편입한다. 또한 제안된 사항을 실행하기 위해 법령개정이나 통합적으로 자동화도니 영구보존기록물관리 시스템을 조정하며, 등록과 기술을 수행할 훈련받은 전문인을 배치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