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anding Information Services of Grey Literatures through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회색문헌 통합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 Kim, Mee-J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t., Jeonju University) ;
  • Nam, Young-Jo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t., Jeonju University)
  • 김미진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 ;
  • 남영준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grey literature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stricting the sharing of grey literatures in Korea, and to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efficient collection and utilization system of grey literatures being produced and managed by either government agencies or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 survey instrument was designed to measure the current status of grey literature management systems and to elicit expert opinions from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information centers for an efficient system of grey literatures.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professionals considered the technical reports as the most important type of grey literatures, but maps and dissertations as the least important type of information value.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for the central system of grey literatures, many respondents preferred to utilize the grey literatures owned by other information centers, but they showed a neutral interest level in sharing their information centers' grey literatures with other centers.

본 연구는 국내 각 기관에서 소장하거나 생산하고 있는 회색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회색문헌이 갖고 있는 특성과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회색문헌이 갖는 특성 가운데 회색문헌의 공유를 저해하는 열람제한의 특징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출하고 실제적인 회색문헌 집중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정보를 조사하였다. 기초자료와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회색문헌을 수집, 처리 및 서비스하는 기관의 정보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정보관리담당자들은 보고서를 회색문헌의 여러 종류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지도와 학위논문과 같은 자료에 대해서는 그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보고 있었다. 또한 자관 회색문헌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외부 자료에 대해서는 열람을 희망하고 있었다. 따라서 회색문헌 공유를 위한 유인책으로는 경제적 지원보다 자료의 공유라는 유인책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영. 2002. 회색문헌의 생산현황과 관리-부산대학교 내 37개 연구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 김미진, 배순자, 남영준. 2002. 국내 회색문헌의 수집, 처리 및 서비스 체제 구축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 김태중, 이창한, 최명규 외. 1998. 공공 정보서비스 체계의 합리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4. 남영준, 배순자. 2003. 회색문헌의 수집, 처리, 서비스 고도화 방안. 지식정보처리학회지.
  5. 배창섭. 포커스/과학기술정보의 효과적 수집 및 DB활용(1). 국내 대행 서비스 업체를 적극 이용하라 [online]. [cited 2002. 10. 2]
  6. 신은자. 1999. 전자 회색문헌의 활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6(3):83-99.
  7. 정현이. 2000. 회색문헌의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8. 최선희, 조현양, 오상훈. 1997. 인터넷을 통한 회색문헌의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55-58.
  9.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995. 과학기술정보서비스(KRISTAL)의 과학기술문헌정보. 데이터베이스 월드.
  10. Almeida, Mario do G.G. 1999. “Control Access for grey Literature in Brazil: A Proposal", In: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 GL'99 Conference Proceedings : Washington D.C., 4-5 October 187-189.
  11. Auger, C. P. 1996. Information Sources in Grey Literature. 4th ed. London:BOWKER - SAUR.
  12. Bichteler, Julie P. 1991. “Geologists and gray literature:access, use and problems."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es, 11(3): 39-50. https://doi.org/10.1300/J122v11n03_04
  13. Carroll, B., G. Cotter. 1993. “A new generation of grey literature:the impact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5-17.
  14. Debachere, M. C. 1995. “Problems in obtaining grey literature.” IFLA Journal, 21(2):94-98. https://doi.org/10.1177/034003529502100205
  15. DEVSIS. 1976. The preliminary design of an international inform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science. Ottawa, IDRC.
  16. Farace, D. J. 1997. “Rise of the Phoenix:a review of new forms and exploitations of grey literature." Publishing Research Quarterly, 13(2):69-76. https://doi.org/10.1007/s12109-997-0019-7
  17. Pinelli, T. E., J. M. Dennedy and R. O. Barclay. 1991. “The NASA/DoD Aerospace Knowledge Diffusion Research Project."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8(2):219-233. https://doi.org/10.1016/0740-624X(91)90055-D
  18. Sturges, P. “Social Intelligence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role of grey literature", In: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 GL'97 Conference Proceedings Luxembourg 13-14 November:31-45.
  19. Wood, D. N. 1984. “The collection, bibliographic control and accessibility of grey literature.” IFLA Journal 10l: 278-282. https://doi.org/10.1177/0340035284010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