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Fluctuations of Coastal Water Quality and Effect of Small Tide Embankment in the Muan Peninsula of Korea

무안반도 연안수질의 시ㆍ공간적 변동과 소규모 방조제의 영향

  • 이대인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 조현서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 이규형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 이문옥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seasonal fluctuations of water quality and effect of small tide embankment in coastal water around the Muan Peninsula,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Mokpo city, and layer farming ground is spread around there. Some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were analyzed to characterize water quality from Jan. to Oct. in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issolved oxygen was slightly under saturation in the almost areas of July, and in some bottom layer at ebb tide of October. Distribution of COD showed high values that over 2㎎/L in October and flood tide of April by the discharge of freshwater and resuspension of benthic sediment, which exceeded water quality criteria II. Maximum value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ware appeared in surface layer during the flood tide of October, while minimum of that showed in surface layer in April.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was higher at July than the others, which ranged from 0.24 to 2.08㎍-at/L. Mostly mean values of N/P ratio were lower than 16, it mean that nitrogen is more limiting nutrient than phosphorus for the growth of phytoplankton. The values of eutrophication index were in the range of 0.07~0.81. However, very high values due to increase of COD were estimated near the tide embankment and southern part in relation to tidal current in October. Water quality around tide embankment was suddenly changed worse within a short period after opening the water gate during the rainfall.

본 연구는 무안반도 주변 연안수질의 계절별, 조석별 변동과 방조제의 수문개방시 시간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수질인자 중 용존산소는 하계의 대부분 정점과 추계 썰물시 저층에서 불포화상태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조사시기에서는 대부분 포화상태를 나타내었는데, 광합성에 의한 영향보다는 기후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생물성장에는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춘계 밀물시와 추계의 밀물과 썰물시에 표층과 저층 모두 평균 2㎎/L이상의 고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해역수질환경 기준 II등급을 초과하였는데, 이것은 이 지역이 매우 낮은 Chl. a농도로 보아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유기물보다는 이 시기에 증가된 저층교란에 의한 부유물질과 담수유입의 영향이라 판단되었다 용존무기질소는 전 조사기간에 걸쳐 0.11~8.63㎍-at/L의 변동범위로 하계와 추계에서 다소 높고, 조석별 차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저층에서 놀게 나타났다. 용존무기인은 ND~2.08㎍-at/L의 변동범위를 보였으며 춘계를 제외하고는 평균 0.30㎍-at/L이상의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N/P비는 대부분 16이하로 조사해역은 질소가 식물플랑크톤 등의 기초생산자에 대한 성장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영양화 지수는 대부분 1이하였으나, 추계에는 밀물시 방조제 지선 주변해역에서 1이상의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었고 썰물시에는 남부해역에서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었다. 추계 강우시 방조제 수문을 약 12분 동안 개방으로 인해 담수가 방류된 후 조석류에 따라서 방조제와 지선 주변해역에서 COD, DIN, DIP 등의 농도가 1시간 내지 2시간 안에 일시적으로 급증하였으나 그 후 다시 감소하여 방류전의 농도로 회복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해역의 지속적 건강성을 위해서는 간석지 매립에 의해 조성된 방조제를 통한 방류량 및 오염부하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