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rnalization of the Gender Identity for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한국 여대생의 성 정체감 내면화 과정

  • Cheon, Hye-J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University of Suwon)
  • 천혜정 (수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bout how they accept, resist, and interpret their gender identities and roles. The research data were autobiographic essays reflecting research participants' gender identities internalization process. Thirty essays were chosen, and carri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t turned out that most of these female students were not blessed their birth among their family members only because of their sexes. On the one hand, these female students were restricted their behaviors by their sexes in their daily lives such as responsibility on household work, not permitting drinking, late returning home, and sexual behavior before marriage. On the other hand, they sometimes took advantage of their sexes for self-rationalization. But they were proud of the fact that they will be mothers someday. It seemed that motherhood was center for their female identity.

Keywords

References

  1. 고선주(1997). 취업부부의 부모기 전이 후 부모로서의 긴장감, 지배감. 서역할 태도와 결혼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35(5), 17-32
  2. 김영천(1997).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연구의 방법과 과정. 교육학연구, 35, 135-170
  3. 김원홍, 이인숙, 권희완(1999). 오늘의 여성학.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4. 김지경(2002). 성차별 경험이 여성의 사회적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노영주(1996).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71-83
  6. 명지대 여성가족생활연구소(2000). 성차별 의식구조의 형성 배경과 표현 양태: 한국 중산층 가족을 중심으로. 여성가족생활연구보고서
  7. 박경은, 이성은(2001).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과 월경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3), 359-372
  8. 박선영, 정옥분(1989). 청년기 자녀의 성역할 정체감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대한가정정학회지, 27(4), 139-151
  9. 박홍주(1998).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는 더 이상 대안이 아니다. 여성과 사회, 9, 113-120
  10. 숙대신보(1998). 서울지역 대학생의 성역할 의식조사. http://sookmyung.ac.kr/~shinbosa/971/971_j_1html
  11. 신경아(1997). 한국 여성의 모성 갈등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심미옥(1991). 여자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의 배경과 수용, 거부 과정.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3. 안순덕(1991). 여성의 의식과 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4. 윤경자(1997). 성역할태도가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21-236
  15. 윤 진(1981). 남녀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한고찰: 성역할 사회화 과정과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15, 21-35
  16. 윤택림(1996). 생활문화속의 일상성의 의미: 도시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과 모성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2(2), 79-117
  17. 이규태(1992). 한국여성의 의식구조 서울: 신원 문화사
  18. 이미정(1998). 가족내에서의 성차별적 교육 투자. 한국사회학, 32, 63-97
  19. 이선미, 김경신(1996).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성역할태도: 모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4(1), 49-65
  20. 이선옥(1997). 신현모양처 이데올로기의 부상. 여성과 사회, 8, 211-221
  21. 이 숙(1986).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성역할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24(4), 199-200
  22. 이영자(2000).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여성과 남성 서울: 나남
  23. 이주옥(1996).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감과 취학전 아동의 성고정관념 및 동료 수용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5(2), 14-28
  24. 이혜성(1989). 심리 여성학: 한국인의 여성에 대한 태도 연구 (pp. 196-232). 여성학 영역별 연구. 서울: 이대 출판부
  25. 조옥라, 신경아(2000). 성평등학에서의 남녀관점의 차이와 융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여성학 수업 수강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26. 조용환(1995). 대학 교육의 의미와 기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여대생들의 홀로서기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3(5), 163-191
  27. 조윤정(1996). 여성의 성적 주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성경험을 통한 의식 형성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8. 한국여성개발원(1993).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남녀역할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9. 한상미(1997). 한국 여대생의 정체성 발달. 독립적 자아와 합류적 자아의 갈등과 변화.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30. Anyon, J. (1983). Intersections of gender and class: Accommodation and resistance by working class and affluent females to contradictory sex-role ideologies. S. Walker & L. Barton(Eds.), Gender, class, and education. Lewes: Falmer Press
  31. Berelson, B.(1952).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di. Glencoe, IL: Free Press
  32. Dey, I. (1993). Qualitative data analysis. London: Routledge
  33. Giddens, A. (1991). Transformation of intimacy: Sexuality, lave and eroticism in modern society
  34. Jost, J. T., & Banaji, M. R. (1994). The role of stereotyping in system justif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false consciousness.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3, 1-27 https://doi.org/10.1111/j.2044-8309.1994.tb01008.x
  35. Kaplan, A. G., & Sedney, M. (1980). Psychology of sex roles: An androgynous perspective.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36. Kim, E. S. (1995). Female gender subjectivity constructed by 'son-birth': Need for feminism?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1, 33-57 https://doi.org/10.1080/12259276.1995.11665767
  37. Marshall, C., & Rossman, G. B. (198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Sage.
  38. Mason, J. (1990). Qualitative Researching. London, England: Sage
  39. Miles, S., & Huberman, A. (1984). Qualitative data analysis. Newbury Park, CA: Sage
  40. Mason, K. O., & Bumpass, L. L. (1974). U. S. women's sex role ideologies, 1970.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0(5), 1212-1219 https://doi.org/10.1086/225951
  41. Pipher, M. (1994). Reviving ophelia: Saving the selves of adolescent girls. New York: Ballantine Books
  42. Sampson, S. (1982). Egalitarian ideology and the education of girls. The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20(1), 10-20
  43. Tavris, C. (1992). The mismeasure of woman. New York: Simon & Schuster
  44. Woods, N. F. (1995). Young women's health. C. I. Forgel, & N. F. Woods(Eds.), Women's health care. Sage